금값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금은 전통적인 인플레이션(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지속해서 오르는 현상) 위험 회피수단이다. 가상화폐 시장에서 금으로 투자자금이 이동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국거래소는 18일 KRX금시장에서 금 현물의 1g당 가격이 전 거래일보다 0.56% 오른 6만8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고 19일 밝혔다. 사흘 연속 상승세다. 종가 기준으로 보면 지난 1월 8일(6만8320원) 이후 최고치다.
지난 3월 5일 기록한 연저점(6만2300원)과 비교하면 10% 가까이 오른 가격이다.
국제 금값도 오름세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17일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현물가는 전 거래일보다 1.2% 오른 온스당 1865.74달러에 마감했다. 2월 초 이후 3개월래 최고치다. 6월물 가격은 온스당 1867.6달러에 마감했다.
안전자산인 금은 지난 연말부터 올해 초까지 약세를 보였다. 위험자산인 주식 등에 돈이 몰리면서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떨어졌다. 하지만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금이 주목을 받고 있다.
블룸버그는 상장지수펀드(ETF)와 펀드 매니저들이 금을 대거 사들였다고 분석했다. 당분간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진다고 판단해 위험 회피 수단으로 금을 매입하고 있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가상화폐 시장으로 몰렸던 돈이 변동성이 적은 금으로 이동한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금 ETF ‘SPDR 골드 트러스트’가 최근 금 매입을 늘렸다. 보유 중인 금이 1주일 전보다 0.4% 늘어난 1028t에 이른다”고 전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