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출산지원정책 ‘호응도 뜨겁다’

입력 2021-05-19 08:09

경기도가 ‘아이 낳기 좋은 경기도’를 위해 중점 추진하고 있는 산후조리비 지원과 공공산후조리원 운영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도내 신생아 부모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해 도내 출생 영아의 94.2%인 7만4000가정이 산후조리비 지원을 받았고, 공공산후조리원의 연평균 가동률이 81%였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산후조리비를 지원받지 않은 도내 출생 영아 가정은 단지 5.8%에 멈췄다.

이조차도 조례 개정안 시행(지난해 10월 14일) 이전 거주기간 1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채 다른 시·도로 전출한 인원으로 추정된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2019년부터 출생아 1인당 50만원(지역화폐)의 산후조리비를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조례’를 개정, 이전 선정기준이었던 ‘경기도 1년 이상 거주 조건’을 삭제했다.

따라서 도내 거주기간이 1년이 되지 않았어도, 태어난 지 12개월이 되지 않은 출생아 중 출생일과 신청일 모두 경기도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있는 아이면 어느 가정이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경기도 제1호 공공산후조리원인 여주공공산후조리원(13실)은 2019년 5월 개원했다.

2주 기준 이용 요금은 168만원으로, 민간산후조리원(평균 266만원)의 63% 수준이다.

산모를 위한 조리교실, 임산부 및 영유아 운동교실, 출산 프로그램실 등을 갖추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공공산후조리원은 셋째아 이상, 장애인 가정, 한부모 가정 등에 요금 50% 감면 혜택을 주는 등 공공성 측면을 더욱 강화했다.

도는 경기북부지역 출산가정을 위해 여주에 이은 두 번째 공공산후조리원인 포천공공산후조리원을 내년에 문을 열 예정으로, 여주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해 당초 13인실 규모에서 20인실로 대폭 확대했다.

류영철 도 보건건강국장은 “두 가지 정책 모두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 경감과 산모·신생아 건강 보호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아이 낳기 좋은 경기도가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과감한 출산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두 번째 공공산후조리원 조성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