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북한과 대화 재개·백신 합의 추구”
“남북관계 회복 노력, 백신 확보 요구에 빛을 잃을 수도”
“바이든, 북한 문제 최우선 순위 아냐”
“한국 당국자, 북미대화 재개 위해 할 수 있는 것 할 것”
문재인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첫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과의 대화를 되살리고,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합의를 이루는 것을 긴급한 이슈로 추구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어 “남북 관계를 회복시키려는 문 대통령의 노력은 미국산 코로나19 백신을 더 많이, 그리고 더 빨리 확보하라는 커져가는 요구에 빛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부터 23일까지 3박5일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은 서울발 기사에서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최근 마무리한 대북정책 검토에 희망과 낙관론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 문제가 최우선 순위라는 신호를 보내지 않으면서 자신의 유산을 공고히 하려는 문 대통령의 희망을 잠재적으로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북한 문제가 후순위로 밀리는 이유로 국제적인 코로나19 위기 상황, 미국 내의 경제적·정치적 문제들, 그리고 세계 각국에서 빚어지는 외교적 위기들을 꼽았다.
하지만 한국은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다. 한국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접근은 대화 재개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좋은 신호”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로이터통신에 “대화 재개를 위한 진지한 시도가 있을 것이고, 어느 시점에서 양측이 실제로 얼굴을 맞대고 만날 수 있을 것으로 우리는 믿는다”면서 “물론, 우리는 이것이 빨리 이뤄지기를 희망하며,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문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해를 북한과의 평화를 달성하는 마지막 기회로 대하고 있으며, 바이든 대통령과 북핵 협상을 재개하는 방법들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는 대북 제재를 완화할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북한은 미국의 대화 제안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북핵 협상을 책임질 대북 특별대표를 임명하지 않고 있으며,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강경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
북한은 오랫동안 대북 제재 완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대북 제재 문제는 남북 경제 협력에 시동을 걸려는 문 대통령의 노력을 방해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은 백신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백악관이 이 이슈를 수용할 것을 촉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국의 백신 공급은 부족하고, 운송은 지연되고 있다”면서 “남북 관계를 회복시키려는 문 대통령의 노력은 미국산 코로나19 백신 확보 요구에 빛을 잃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통신은 또 느린 백신 접종률은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더욱 약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통신은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이번 미국 방문과 관련해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힌 대목을 거론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