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올라온 박용주의 오월시 ‘하직 인사’

입력 2021-05-18 23:46
문학평론가 임우기(솔출판사 대표)는 18일 페이스북을 통해 ‘아이를 어른으로 만든 5.18 광주’라는 글을 링크했다.

이 글에 따르면 천재시인 박용주는 1989년 중3 때 이 시를 썼다.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사자명예훼손 혐의를 받고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2019년 3월 11일 오후 광주 동구 광주지방법원에 재판을 받기 위해 도착하자, 광주 시민들이 전 전 대통령의 대형 현수막을 밟고 지나가고 있다.뉴시스

하직 인사/박용주

하관을 하고 마지막 절을 올릴 때
나는 일곱 살, 동생은 두 살이었지요

묘역 곳곳에 빨갛게 피어난 사루비아와
자꾸만 주먹으로 눈물을 훔쳤던 기억이
아버지와의 마지막이었지요

흘러내린 누런 상복을 추스려 올리며
돌아서 생긋 웃던 동생의 모습이
왜 그렇게 눈물나게 하였는지요

네가 울면 동생도 따라 우니
이젠 그만 울어라

남아 일생 큰 울음은 한 번으로 족하니
그 한 번이 나라 잃어 슬플 때라 하신 말씀에
소리 죽여 울었던
청명한 구월 그날의 하늘은
별나게 푸르러 눈부셨지요

나는 아버지를 망월동 묘역에 묻고
동생은 아버지를 공부하러 미국 보낸 지 벌써 십년
강산도 변한다는 세월 동안
매양 한자리에 말없이 계신 아버지,
이제는 여기 그만 올랍니다

올 때마다 가슴에 쌓이는 건 설움이요
돌아서는 발걸음은 납덩이인데
키워주신 세월보다
부대끼며 살아온 세월이 더 많은데
날더러 여기 와 늘 울으라는 건
아버지의 욕심이지요

어른 돼서 울지 않고 벌초하고
술 따루어 올릴 수 있을 때
그때 다시 올랍니다
무정타 마시고 기다리지 마소서
무정하기로야 어린 자식 두고가신
아버지만 하겠습니까

이제 하직 인사 올리오니 이 절 받으시고
바람소리 쓸쓸하고 날 추워도
더는 기다리지 마소서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