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18일 ‘관세평가분류원(관평원) 의혹’에 대해 “진상 규명을 위해 당 차원의 대응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 의원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인 만큼 상임위 차원의 문제제기도 이어질 전망이다.
권 의원은 이날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행안위뿐 아니라 여기 저기서 문제제기를 더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 신도시 투기’ 의혹처럼 공직기강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날 권 의원이 행안부와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세청은 2015년 산하기관인 관평원 세종 이전을 추진했다. 관평원은 세종시 이전 대상도 아니었음에도 세종청사를 지었다. 결국 관평원의 세종시 이전은 무산됐고 해당 건물은 현재 공실로 ‘유령 청사’가 됐다. 그러나 관평원 직원 82명 가운데 49명이 공무원 특별분양(특공)으로 아파트를 분양받고 수억원대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관평원이 소속 공무원들의 특공을 위해 무리하게 세종청사 건립을 추진했다는 게 권 의원실 지적이다.
해당 관평원 공무원들이 받은 특공 아파트들은 회수가 불가한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를 회수할 법적 근거가 미비하다는 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의 설명이다.
관세청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근무인원 급증 및 사무 공간 부족으로 신청사가 필요해 2015년 세종시 이전을 추진했다”며 “특공을 이유로 (세종시에)청사를 신축한 것은 아니다”고 일축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