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는 17일 “국가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할 수 없는 범죄”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날 오후 전북대에서 열린 이세종 열사 추모식에 참석해 “(5·18은) 국민이 맡긴 총칼로 국민의 생명을 위협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지사는 “1980년 5월 소년 노동자로 공장에서 일하면서 제가 들은 이야기는 ‘북한군과 폭도가 폭동을 일으켰다’는 것이었다”면서 “모든 언론이 그랬고, 주변에서 듣는 모든 이야기가 그랬기 때문에 저도 동조해서 제 입으로 그들을 비난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대학에 간 이후 광주의 참혹한 실상을 알게 됐고, 제 입으로 그 억울한 사람들을 가해한 것에 대해 수치스럽고 모멸감을 느꼈다”며 “그 이후 모두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세상에서 각자 역량을 펼치며 사는 정상적 세상을 만드는 게 꿈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국가폭력은 반드시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을 물어야 재발하지 않는다”면서 “나치 부역자에 대해 전 세계를 추적해 처벌하는 것처럼 공소시효를 배제하고 100년이 지나도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행사 내내 ‘5.18 민주화운동’이라고 쓰인 마스크와 배지를 착용해 눈길을 끌었다.
추모식에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와 학생들도 참석해 열사의 숭고한 뜻을 기렸다.
이세종 열사는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의 전국 첫 희생자다. 이 열사는 그해 5월 17일 전북대에서 계엄군을 상대로 농성하다가 이튿날 새벽 1시쯤 학생회관 아래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사인을 ‘단순 추락사’로 발표했으나 시신 여러 군데서 피멍이 발견돼 계엄군에 의한 집단 폭행 의혹이 제기됐다. 이후 이 열사는 민주화 항쟁 첫 희생자로 인정받아 국립 5·18 민주묘지에 안장됐다.
전북대와 5.18 구속부상자회 등은 학생회관 인근에 추모비를 세우고 매년 5월 17일에 추모행사를 열고 있다. 열사의 추모비에는 ‘다시 살아서 하늘을 보고 싶다’는 글귀가 적혀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