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평택항 부두에서 작업 중 사망한 고(故) 이선호씨(23)를 추모하는 시민분향소가 17일 경기 평택역 광장에 설치됐다. 민주노총경기도본부, 고 이선호군산재사망대책위 등 노동 단체들은 이날 평택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산재사망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고인이 사망한 지 25일이 지났지만 유관부서는 아직 조사를 마치지 못한 채 우왕좌왕 하고 있다”며 “산재사고로 인한 사망사건은 조사가 어렵지 않은데 아직도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지 못하고 수사를 더 하겠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산재사망의 원인은 안전에 투자하지 않고 이윤만 추구하는 기업 경영방식에 있다고 비판했다. 단체는 “이씨의 사망은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기업 살인”이라며 “중대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업무에 일용직을 채용하고 안전수칙 점검 없이 최소한의 인력으로 인건비를 줄이는 것은 곧 산재 살인을 예고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매년 2천 여명의 노동자 산재사망은 이제 비밀이 아닌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고용노동부는 평택항 전체를 특별근로감독 지구로 지정하고 유사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덧붙였다.
이선호 씨는 지난달 22일 안전관리자 등이 없는 상황에서 평택항 부두 화물 컨테이너 날개 아래 나뭇조각 등을 치우는 작업을 하다가 300㎏에 달하는 날개에 깔려 숨졌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고 이선호씨의 빈소를 찾아 조문하며 유가족을 위로했다. 한편 원청인 동방측은 기자회견을 열어 산재사고에 대해 공식 사과했으나 대책위 측은 대책 마련도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과가 이뤄졌다며 “유족에 사과와 합의 없이 보상만을 언급한 것은 유족을 헤아리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노유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