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제41주년 정부 주관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엄수된다.
국가보훈처가 주관하는 기념식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 주요 인사와 5·18 유공자, 유족, 각계 대표, 학생 등 99명만 참석한다. 입장권을 받은 사람만 제한적으로 기념식장에 들어갈 수 있다. 보훈처는 제40주년인 지난해의 경우 5·18 최후항쟁지인 옛 전남도청 앞에서 400여 명이 참석한 기념식을 개최했으나 올해는 2년째인 코로나19를 감안해 규모를 더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한 기념식은 헌화·분향, 국민의례, 경과보고, 기념공연 1막, 기념사, 기념공연 2막,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45분간 진행된다. 경과보고는 김영훈 5·18민주유공자 유족회장이 맡는다.
이어 광주의 5월을 주제로 5·18 희생자를 추모하는 기념공연 1막이 열린다. 올해 41년 만에 당시 사진이 발견된 고 전재수군과 당시 들불야학 교사로서 ‘투사회보’를 손글씨로 제작한 박용준 열사의 사연을 담은 영상이 상영된다. 비올라 5중주 ‘바위섬’ 추모 연주가 곁들여진다.
박 열사는 1980년 5월 27일 민주화운동 최후 항쟁과정에서 25세의 젊은 나이로 산화해 ‘들불 7열사’로 꼽히는 인물이다. 보훈처는 박씨의 당시 육필 글씨체를 활용해 주제 표어를 제작했다.
2막 공연에서는 오디션 방송 팬텀싱어 참가자인 바리톤 김주택과 합창단 시민과 함께하는 뮤지컬 배우들이 가수 송창식의 노래 ‘우리는’을 합창한다. 국민대통합을 이루자는 의미다. 기념식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참석자 전원이 함께 제창하며 마무리된다. 기념식은 TV와 유튜브, SNS를 통해 생중계된다.
앞서 17일 오후 7시30분부터는 5·18 기념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전야제가 역시 99명만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보훈처 관계자는 ”5·18을 전 국민이 함께 기억하고 화합으로 나아가는 계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5월 정신이 그 아픔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용서, 위로를 통해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으로 재점화하고 지역적 한계를 초월해 전국화 세계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