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백신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중앙정부와 별도로 백신 자체 도입을 검토중이라고 밝힌 경기도 이재명 지사와 대립각을 세운 것이다.
오 시장은 17일 시청에서 가진 취임 한달 기자간담회에서 “지자체별로 백신을 확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라며 “국가적으로 백신 확보를 중앙정부가 질서있게 하는 것이 더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굉장히 많은 루트를 통해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 몇몇 선진국에서는 어떤 루트로든 민간영역에서 확보된 물량이 있는 것 같다. 그런 것들이 공적, 사적으로 여러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오 시장은 그러나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민간을 통해 도입하는 것은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고 집단면역을 조기에 형성하는 노력에 역행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오 시장은 자가검사키트 시범사업과 관련해 “서울시가 독자적으로 쓰는 것은 자제하겠다”며 “중대본과 합의가 돼서 여러가지 고통을 겪고 있는 현장에 서울시가 시범사업을 시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가검사키트는 PCR과 비교해서 민감도와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반복적, 주기적으로 사용하면 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특색이 있다”면서 “단점만을 놓고 우려할게 아니라 장점을 극대화해서 민생경제에서 극도의 고통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학교 현장, 콜센터, 물류센터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느냐는 관점에서 정책 시행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또 “국내 업체가 상당히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는 독일, 영국 등에 수출해 상용화되고 있는 제품 가운데 민감도가 90% 이상 보고된 제품들이 실제로 쓰이고 있다”며 “주기적인 사용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PCR 검사의 보완제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