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이후 미얀마 시민들 사이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과 호감이 급증한 가운데 한국의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공감대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 최대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은 16일 지면을 통해 군부 쿠데타에 저항하는 시민운동이 펼쳐지는 미얀마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을 자세히 소개했다.
다하라 노리마사 아시아총국장의 기명 칼럼 형식으로 게재된 글에 따르면 미얀마 주재 일본인들이 현지인들을 상대로 벌인 한 설문조사에서 지난 2월 1일 쿠데타 이후 인상이 좋아진 나라로 89%가 한국을 꼽았다. 일본을 거론한 사람은 46.9%에 그쳤다.
다하라 총국장은 미얀마 군부와 이전부터 관계를 맺어온 일본이 쿠데타에 보인 태도가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과 달리 한국의 미얀마 군부 비판 태도는 확실히 강한 것은 맞으나 90%에 달하는 미얀마인들이 한국을 향해 호감을 보이는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설문 조사에서 한국 호감도가 높아진 이유로 ‘우리와 같은 일을 겪었다’는 코멘트가 있었는데, 실제로 자신이 취재한 미얀마인들에게도 같은 말을 수차례 들었다고 밝혔다.
한국 군부가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탄압한 것을 미얀마인들이 현재 겪는 상황에 비추어 같은 사건으로 공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하라 총국장은 그 이유로 한국 군부가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야당 정치인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을 구속하고 광주 시민들을 무력으로 진압해 160명 이상이 희생된 사실을 제시했다. 미얀마인의 눈에는 쿠데타로 구속된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석방을 요구하는 시민을 군부가 학살하는 모습이 광주 항쟁과 닮았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광주 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 역시 미얀마인들의 한국을 향한 동질감을 강화하는데 한몫했다고 덧붙였다.
다하라 총국장은 미얀마 SNS상에서 ‘택시운전사’를 보라고 권하는 사람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영화 속 택시운전사로 등장하는 송강호가 진압군의 총탄에 쓰러진 시위 참가자의 처참한 모습을 보고 말을 잃는 장면을 짚었다.
그러면서 미얀마인 여대생(19)의 “우리나라에서 지금 일어나는 것과 똑같다. 한국은 우리의 고통과 분노를 알아준다”라는 말을 인용했다.
다하라 총국장은 한국이 광주 민주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 도입 등을 통해 민주주의를 정착시켜 나간 일련의 흐름을 미얀마 시민들이 미얀마가 추구해야 할 이상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개최하는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을 대한민국을 넘어 미얀마 등 전 세계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행사로 진행할 계획이다.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한 2막 공연은 5·18 사적지를 통해 시대적 의미를 고찰한다. 특히 미얀마 등 전 세계의 민주주의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표현하는 영상을 통해 41년 전 광주의 오월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오월임을 알릴 예정이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