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맞으러 美여행? “이상반응 한국정부가 책임 못져”

입력 2021-05-14 13:21 수정 2021-05-17 13:22
사진=뉴시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려 미국에 다녀오는 이른바 ‘백신 여행’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특히 백신 이상반응이 생기더라도 한국 정부는 책임질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배경택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상황총괄반장은 1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국민들께서 해외여행하시는 것들에 대해서 저희가 법적으로 제한하거나 이럴 순 없다”면서도 “공식적으로 조사하고 있진 않은데 저 개인적으로 판단하기에 그렇게 하시는 게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우선 방역 절차 등에 따라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배경택 반장은 “화이자 경우 3주 간격으로 맞아야 되기 때문에 최소 3주에서 4주 정도 미국에 있어야 하고 맞자마자 바로 한국에 돌아온다고 해도 해외에서 들어오신 분들은 다 최소한 PCR 검사를 하고 2주간 자가격리를 시킨다”며 “한달 보름 정도는 아무 경제활동을 못해 이런 경우가 흔하진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배 반장은 또 한국에 비해 많은 미국의 확진자 규모가 훨씬 크다는 점을 들며 “백신을 아직 안 맞았기 때문에 미국에 다른 사람들은 백신을 맞았더라도 본인은 그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작은 확률이지만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이 생겼을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정부는 국가 예방접종 등을 통해 접종 이후 발생한 피해에 대해선 감염병 예방법(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피해조사와 보상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백신 접종은 한국이 아닌 미국 정부를 통한 예방접종이다.

배 반장은 “미국에서 맞고 오신 분을 정부가 책임지진 않는다”며 “(접종 후 이상반응 등) 경우가 있으면 그건 미국 정부하고 해결하셔야 되는데 그런 문제도 있어서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백신을 2회 접종하더라도 국내 입국 이후 2주 격리 조치에서 면제되는 건 아니다. 아직 국가 간 협약 등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배 반장은 “한국은 (백신을) 맞으면 전자적으로 기록이 올라가는데 미국은 맞았다는 걸 종이로만 줘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앞으로는 한국 정부하고 미국 정부가 협의해서 이런 걸 서로 확인하기 위한 노력을 할 텐데 현재로선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자가격리가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배 반장은 “내일 백신을 맞으러 갔다가 4주 있다 돌아와서 2주 자가격리 하면 6월 말이 돼 버리는데 6월 말까지 최소한 1300만명 정도는 우리가 위험이 높은 분들한테는 예방접종하겠다고 약속을 드렸고 그렇게 해나가고 있다. 그래서 굳이 미국까지 안 가셔도 한국에서 조금 기다리시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