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고독사를 막기 위한 종합계획을 내놨다. 특히 지난해 서울에서 발생한 고독사의 절반 이상이 중장년층 1인 가구로 나타나면서, 서울시가 중장년층 1인가구를 타깃으로 예방책을 가동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13일 ‘제4기 고독사 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2018년 1기 고독사 예방 종합계획 이후 매년 고독사 대책을 내놓고 있는데, 이번 종합계획의 핵심은 ‘중장년층’이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동별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발생한 고독사 중 54.9%가 50~64세 중장년층으로 나타나는 등 고독사 위험에 가장 노출된 것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우선 서울의 중장년 1인가구에 대해 타깃 예방 대책을 가동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25개 전 자치구와 협력해 중장년 특별 전수조사를 실시한 뒤 고독사 위험도에 따라 단계별 맞춤형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실직 등으로 사회관계가 단절된 중장년 1인 가구에는 서울시 50플러스재단을 중심으로 일자리 상담·교육 등을 종합지원한다. 이들 세대를 잘 이해하는 동년배 전문가의 상담, 일·사회공헌·가족관계·사회적관계·여가·재무·건강 등 7대 영역의 종합상담으로 맞춤형 교육·일자리 활동을 지원한다.
코로나19로 고독사 위험군의 사회적 단절 심화에 대처하기 위해 ‘서울 살피미’ 어플리케이션을 이달 중 새롭게 출시한다. 24시간 휴대전화 사용이 없으면 보호자나 동주민센터로 위기 문자가 가는 앱이다. 중장년층 고독사 위험 1인가구에게 우선 서비스하고, 향후 돌봄사각지대 주민 등으로 점차 확대해갈 예정이다. 움직임이나 전력사용량을 감지해 위험상황을 감지하는 ‘loT 안전관리 솔루션’과 ‘스마트 플러그’도 각각 고위험 취약어르신 1만2500명, 중장년층 고독사 위험 1인 가구 3100여 명을 대상으로 추진 중이다.
푸드뱅크‧마켓을 통해 추진하고 있는 식품꾸러미 배달 대상도 기존 저소득층에서 고독사 위험군으로 확대한다. 새로 편입된 주민의 희망 생필품을 지원한다.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상시적 발굴체계도 구축한다. 만 65세‧70세 도래자,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조사 등 복지 관련 전수조사에 ‘고독사 위험도’ 항목을 추가한다. 또 고시원, 찜질방, 숙박업소 등 주거취약지역에 거주하는 고위험군을 발굴해 복지서비스를 연계한다.
가족 없이 고독사한 시민을 위해 공영장례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일반 무연고 사망자에게만 이뤄지는 장례식장 안치료 지원금(6만원)을 저소득 시민으로 범위를 확대한다.
아울러 고독사에 대한 정화한 원인과 통계 분석을 실시해 체계적인 정책 수립의 발판을 마련한다. 고독사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지 오래됐음에도 선행 연구자료와 통계자료가 부족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서울시복지재단을 통해 올해 2월부터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는 11월 ‘고독사 위험게층 실태조사 연구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