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형 거리 두기 모델’, 7월부터 전국 확대되나?

입력 2021-05-13 10:00

경북도가 전국 처음 선제적으로 시행한 ‘경북형 거리 두기 모델’이 7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12일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7월쯤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을 검토 중”이라며 “현재 경북과 전남 일부지역에서 시범 적용 중인데 그 성과를 토대로 최종안을 마련하고 가능한 한 조속히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국무총리 직무대행의 이날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 검토 발언은 경북도의 선제적 시범 운영이 지역경제 살리기와 지역사회 내 n차 감염 확산 저지라는 두 마리 토끼잡기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 “정부는 일일 확진자 수를 500명 이하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이와 같은 상황이 유지되면 영업제한 조치, 사적모임 인원 제한 등에 대한 탄력적 조정 문제를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지난달 26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 1단계를 시범 적용해 운영하고 있다.
도가 운영중인 시범 적용안은 인구 10만 명 미만 12개 군 지역에서 5인 이상 사적 모임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청도·고령·성주 등 7개 군은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완전히 해제됐다. 다만, 예천·의성·영덕 등 5개 군은 지역 상황 등을 고려해 사적 모임 인원을 8인까지로 제한했다.

시범 운영한 첫 주에 12개 군에서 지역사회 확진자가 9명이 발생했으나 신속한 자가 격리와 접촉자 차단 등으로 지역사회 내 n차 감염으로 번지지는 않았다. 이 같은 성과에 지난 3일 0시를 기해 청송군을 제외한 4개 군의 사적 모임 인원 제한도 전격 해제했다.

6개월 가까이 이어져 온 사적모임 인원 제한 해제로 자영업자들이 크게 반기고 있어 지역 서민경제도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예천읍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권오순(55)씨는 “최근 들어 평소보다 2배가 넘는 손님들이 식당을 찾고 있어 가게 운영에 숨통이 트였다”며 “경북도내 전 지역이 거리 두기 개편안이 적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거리 두기 개편안이 성공을 거뒀다”며 “지자체 상황에 맞는 방역단계 결정을 더욱 확대하고, 무엇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민생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