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12일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제기되는 대선 경선 연기론에 대해 “원칙대로 하면 제일 조용하고 원만하고 합당하지 않나”라며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이 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비주거용 부동산 공평과세 실현’ 정책 토론회 후 경선 연기론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하며 “더 길게 드릴 말씀은 없다”고 했다.
이는 현행 당헌·당규대로 대선 180일 전인 오는 9월 초에 대선후보를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 잡음도 없을 것이란 취지의 발언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박용진 의원,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최근 여권 내 주자들이 대선레이스에 시동을 거는 것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도 경기도정에 집중하겠다며 선을 그었다. 이 지사는 “그냥 정치인이 아니고 국민에게 고용돼 보수를 받고 업무를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공직자라서 주어진 역할에 더 집중해야 하는 게 맞다”며 “내가 결정할 수 없는 정치적인 외부 상황들은 충분히 존중하겠지만 아직은 최대한 경기도정에 집중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또 임혜숙·박준영·노형욱 장관 후보자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 “청와대와 국회 등에서 당원의 힘을 잘 감안해 적절하게 결정하리라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초선 모임인 ‘더민초’가 이날 1명 이상 장관 후보 낙마를 요구한 것이 적절한 조치라고 보는 질문에는 “제가 답할 일이 아닌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이외에도 이 지사는 부동산 토론회 축사에서 부동산 조세 제도의 불합리성을 지적하며 “최소한 평등하게, 아니면 한 발짝 나아가서 힘들고 가난한 사람에게 더 적게, 실질적 형평성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날 대선용 외곽조직으로 알려진 ‘민주평화광장’ 출범식에도 참석했다.
이 지사는 민주평화광장 출범식 행사인 ‘청년 주거’ 정책 토론회에서 “대한민국에 저출생, 실업, 청년, 세대 갈등 등 많은 문제가 있는데 문제의 원천은 저성장”이라며 “불공정에 대한 분노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불평등 격차를 완화하며 공정성을 회복해 가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당 일각에 남아 있는 반감 정서 극복에 대해서는 “좁게 보면 정치는 프로 정치인들이 하는 것 같지만 넓게 깊게 보면 정치는 국민이 한다. 국민주권 국가에서 국민의 뜻이 존중되지 않는 정치는 잠시는 몰라도 결코 존재할 수 없고 국민의 뜻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국민이라고 하는 깊은 흐름 속에 당이 있는 것이고, 당 역시 당원이라는 흐름 속에 있다. 결국 국민의 뜻에 따라 결정되고 국민 뜻대로 풀려나갈 것으로 생각한다”며 ”당내 역학구조나 이런 것은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아도 되겠다”고 전했다.
김아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