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의 대학발전협력단이 12일 광주에서 출범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입생 고갈 등으로 위기를 넘어 생존의 갈림길에 선 지역대학이 안정적 순항을 위한 돌파구를 찾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광주지역 17개 대학과 광주시, 시 교육청 등으로 구성된 협력단은 이날 광주시청 12층 사무실에서 현판식과 함께 본격 업무에 들어갔다. 대학교육을 지방행정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대학의 체질을 개선하고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이 항구적 공존·공영의 지름길을 찾는 이색 실험에 돌입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학 발전 견인차 구실을 자임하는 협력단은 일단 시 공무원 3명, 시 교육청 공무원 1명, 전남대·조선대·광주대·호남대·동강대에서 1명씩 파견한 대학 직원 5명 등으로 구성됐다.
시는 연말까지 전담 조직 형태로 협력단을 운영한 뒤 내년 1월부터 ‘과’ 단위의 전담 부서를 운영한다. 이를 위한 행정안전부 조직개편 승인을 이미 마쳤다. 대학협력팀과 산업협력팀 등 2개 팀 16명으로 구성된 가칭 대학발전협력과를 새로 둔다는 것이다.
그때까지 협력단은 각 대학 실태조사를 토대로 지금까지 시의 10여 개 부서에서 분담해온 대학 관련 28개 사업을 총괄·조정하고 관계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한 민관협력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또 캠퍼스별 순회 포럼을 개최해 대학별 강점과 현황을 파악하는 등 장기 발전방안 수립에 관한 공감대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행정기관과 대학이 의기투합해 지역발전을 이끄는 구심점을 만드는 게 최종 목표다. 인공지능과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 건강관리, 문화콘텐츠 등 지역 핵심 전략산업에 필요한 인재 양성과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각 대학의 혁신 전략도 꾀한다.
교육과정 특성화는 물론 중앙 부처 공모사업 응모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해 상생발전을 모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신입생 모집부터 학사운영, 연구 활동 지원, 청년 일자리 정책 등에도 역량을 모아가기로 했다.
지역 대학들이 직면한 신입생 부족과 졸업생 취업난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대학별 특성에 맞는 대책을 세부적으로 마련하고 연차별 발전전략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지역대학 지원 관련 예산은 올해 기준 1624억 원 정도다.
시는 협력단 운영이 정상궤도에 접어들면 각계 민간 전문가로 가칭 ‘지역 대학 위기 대응 위원회’도 별도 구성해 협력단의 전문성을 한층 높이고 지역사회와 공감대도 넓혀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국에서 처음 출범한 대학발전협력단이 갈 길은 무척 멀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광주지역 주요 10개 대학의 재적 학생 수는 수도권 쏠림현상과 저출산 여파 등으로 지난 2012년 8만6700여 명에서 2019년 8만1600여 명으로 벌써 5000명 이상 줄어들었고 향후 더 가파르게 감소할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입학정원은 같은 기간 1만4900여 명에서 1만3500여 명으로 1400여 명 축소하는 데 그쳤다. 이로 인해 올해의 경우 지역 거점대학인 전남대마저 용봉·여수 캠퍼스 31개 학과에서 140여 명의 정원 미달이 이례적으로 발생했다.
이날 현판식을 한 협력단에는 광신대, 광주과기원, 광주교대, 광주대, 광주여대, 남부대, 송원대,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광주보건대, 기독간호대, 동강대, 서영대, 조선간호대, 조선이공대, 한국폴리텍대 등 지역 18개 대학 중 17곳이 참여했다.
광주대 김혁종 총장은 “협력단은 각 대학과 시가 공동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젊은이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고도 행복한 삶을 꾸려나가도록 하자는데 의견이 일치한 성과물”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