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북한에 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하고 인도적 지원을 하는 것에 열려 있다고 CNN방송이 소식통을 인용해 11일 보도했다.
CNN방송은 이날 2명의 소식통을 인용 “우리는 북한의 인도지원 요청을 검토하는 데 열려 있는데 의도된 대상들에게 도달하는 걸 보장하는 효과적 모니터링을 수반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들이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 미국의 한 고위 당국자는 “현재로서는 북한에 백신을 공유할 계획은 없다”면서 북한이 백신 공동구매·배분기구 ‘코백스(COVAX)’와의 협력을 거절했고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한 한국의 제안도 거부했었다고 덧붙였다.
CNN방송은 “행정부 당국자들은 팬데믹의 위협이 지나갈 때까지 북한이 미국과의 관여에 준비되지 않을 것이며 그래서 백신 공유가 초기의 외교적 관여에 기름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이 백신 공유를 비롯한 인도지원에 호응할지는 불분명하다. 북한은 제재 완화를 비롯한 대북 적대시 정책의 철회를 요구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에도 인도지원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대북정책 검토를 완료하고 개략적 기조를 공개했으며 북한에 검토 결과 설명을 위한 접촉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일단 접촉 제안에 대해 ‘잘 접수했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백악관이 올 초부터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접촉하려고 시도했지만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던 것과 다른 반응이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소속 수미 테러 선임연구원은 CNN에 “백신 외교는(미·북 간) 교착 상태를 깰 수 있는 쉬운 방법”이라며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 제재 해제와 관련해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기 때문에 북한에 줄 수 있다는 다른 ‘당근’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향후 전망에 대해 “북한이 백신에 대해 얼마나 절박한지에 달렸다”고 덧붙였다.
비핀 나랑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정치학 교수는 “이것은 대단한 제안이 되겠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받아들일지 만무하다”며 “미국이 무엇을 줄 것인지에 집착할 것이고 중국이 북한 고위층에 조용히 백신을 제공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측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