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을 다한 전기차 배터리를 재사용 상품으로 판매하기 위한 안전성 시험·인증 센터가 제주에 설립될 전망이다. 전기차 배터리는 폐차 시 지자체에 반납하게 되는데 제주의 경우 재사용 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잔존가치 평가 후 창고에 쌓아두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는 2022년도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인 ‘전기차 배터리 재제조 제품 시험평가 및 인증 지원 기반 구축사업’에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2022년부터 3년 간 국비 60억원 등 총 86억원을 투입해 전기차 폐배터리 민간 응용제품 개발·시험·인증 지원체계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전기차 폐배터리는 배터리에 들어있는 리튬이 물이나 공기에 닿으면 화재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다른 쓰레기처럼 매립이나 소각 처리할 수 없다. 다행히 전기차 사용 후에도 배터리 자체의 성능이 일부 남아 있어 가로등 에너지저장장치나 양식장 자동전원공급장치 등으로 재사용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재사용 제품의 안전성을 검사할 인증기관이 도내에 없어 폐배터리 활용은 답보 상태다.
때문에 제주도가 폐배터리 활용을 위해 2019년 조성한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에는 폐차된 전기차에서 떼어 낸 배터리가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현재까지 입고된 폐배터리는 172대. 도내 전기차가 2013년부터 본격 보급된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폐배터리 입고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의 골자는 폐배터리 응용제품 상품화를 위한 안전성 시험·인증 센터 설립이다.
도는 2024년까지 새사용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 시험·인증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전기차 폐배터리 상용화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폐배터리 전 주기 관리체계 마련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형석 미래전략국장은 “제주는 도내 전기차 보급이 국내 다른 지역보다 일찍 시작된 만큼 폐배터리 처리 문제에도 가장 빨리 직면했다”며 “사용후 배터리의 친환경 순환 경제 기반을 조속히 마련해 폐배터리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제주도 전기차 등록 대수는 1만5899대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