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기본 밑그림이 공개됐다.
경남도는 지난 10일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경수 지사를 비롯해 경제·사회·환경 등 분야별 민·관·학·연 전문가들과 시민단체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해 2월 제정한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 조례’에 따라 이번에 처음으로 수립한 기본계획은 오는 2040년까지 경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갈 기본 설계도에 해당한다. 용역은 사회혁신연구소가 맡아 추진했다.
기본계획은 유엔과 정부가 제시한 17개의 지속 가능 발전목표를 바탕으로 경남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비전과 목표를 설정했다. 구체적으로 ‘경제발전과 사회정의, 환경보전이 조화로운 지속가능한 경남’이라는 비전 아래 17개 목표와 34개 중점과제가 제시됐다. 또 이에 대응하는 목표지표 17개와 성과지표 140개, 도내 각 시군의 지속가능성을 견인하기 위한 17개 지표를 제안했다.
분야별 목표 지표를 보면, 사회 분야에 도농수입격차·소득 5분위 배율, 경제 분야는 재생에너지 비율·RE100(재생에너지 100%) 달성 기업 수, 환경 분야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자원순환 이용률, 제도 분야는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도 등이다.
이번 기본계획 수립에는 지역 주민이 사전연구 단계에 직접 참여했고, 이를 기초로 전문가 40여명이 6개 그룹으로 나눠 20회에 걸쳐 토론을 진행하는 등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다. 도청 22개 부서도 참여했다.
김 지사는 “지속가능발전과 관련해 여러 가지 지표가 있지만, 도민의 입장에서는 삶의 질 지표와 같은 것이라고 이해한다”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사회일수록 그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민들이 더 살기 좋은 경남을 만들어 우리 아이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물려줄 수 있도록 제안된 과제를 민관이 협력해 성실히 수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이번 보고회에서 나온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기본계획을 보완한 뒤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