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 모두 5·18을 추모합시다’…지방공휴일 동참 권고

입력 2021-05-11 09:39

‘광주시민 모두가 5월 18일 하루는 한마음 한뜻으로 그날의 의미를 되새겨봤으면 합니다. 자녀들과 5·18 사적지 등을 돌아보면서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의 역사를 직접 들려주시면....’

광주시가 지난해 지방 공휴일로 지정한 5월 18일 민주화운동 기념일 휴무와 조기 게양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나섰다. 단순히 쉬는 데 그치지 않고 숭고한 5·18 정신을 토대로 광주공동체가 가야 할 길을 함께 찾아보자는 주문이다.

시는 “올해 두 번째인 5·18 지방 공휴일에 민원 부서는 50%, 일반 부서는 20%만 공무원들이 출근해 근무하도록 했다”고 11일 밝혔다. 5개 자치구도 유사한 방식으로 근무 인원을 조정해 휴무에 들어간다.

시는 공공부문뿐 아니라 각급 학교, 민간기업, 기관·단체 등 민간부문도 일상의 업무를 잠시 멈추고 그날을 추모하는 ‘지방 공휴일 5·18’에 동참해달라고 밝혔다.

시는 제40주년인 지난해 처음으로 5·18 기념일을 지방 공휴일을 지정하는 조례를 제정해 시청과 시의회, 직속 기관, 사업소 직원들이 휴무하도록 했다. 지자체가 법정 기념일 중 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날을 지방 공휴일로 지정할 수 있다고 지방자치법이 규정한 데 따른 것이다.

시는 지난 2018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일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5월 18일을 지방 공휴일로 지정한 것이다.

하지만 광주 5개 자치구 등은 지난해의 경우 조례 제정 절차를 밟지 않아 휴무제를 하지 않은 곳이 많았다. 초·중·고교 등도 일선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휴무 여부가 자율적으로 결정됐다.

시는 코로나19 사태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등으로 지난해 5·18 정신 계승을 위한 휴무제 참여도가 부족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자치구 조례 제정 등을 통해 제도적 근거가 마련된 올해는 공공부문은 물론 민간부문에서도 5·18 휴무제가 더 확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또 지난해 개정한 ‘광주시 국기의 조기 게양 조례’에 따라 오는 18~27일까지 추모 기간에 조기를 달도록 홍보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1년에 하루, 5월 18일에는 가족 지인과 5월 사적지를 찾아 그날의 값진 희생을 추모하고 5월 정신을 담은 전시와 공연, 영화를 관람하면서 시간을 보냈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