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해 ‘잘못된 결정’이라고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경기도민 절대 다수인 95%는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가 우리나라 주변 해역 오염과 국민 안전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기도는 지난 8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일본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해선 ‘잘못된 결정’이라는 평가가 89%로 매우 높았다.
‘어쩔 수 없는 결정’이라는 응답은 10%에 불과했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가 우리나라 주변 해역 오염과 국민 안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도민의 95%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답했다.
도민들은 일본에서 방사능 오염수를 예정대로 해양 방류 시 문제점에 대해 ‘해양환경 오염(96%)’ ‘식품안전(96%)’ ‘개인건강(94%)’ 등에 절대 우려를 표했다.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으로는 ‘방류 결정 자체를 철회시켜야 한다(49%)’ ‘방류 시 방사성 물질 처리 검증 과정에 국내 전문가들을 참여시켜야 한다(40%)’ 등이 주로 꼽혔다.
도민들은 경기도의 대응 조치로 ‘수산물 원산지 표시 품목 및 단속 확대’(23%)를 가장 원했다.
이어 ‘수산물 방사성 물질 검사 확대’(16%), ‘일본 정부에 대한 적극적인 항의’(15%), ‘해외 지방정부와 국제공조’(14%) 등 순이었다.
도가 지난달 23일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대응 전담조직(TF)을 구성해 수입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 규모 확대, 바닷물·수산물 자체 방사능 검사 확대, 일본산 수산물 원산지 표시 점검 강화 등 종합적 대응 대책을 강구하는 것에 대해 도민들의 86%가 ‘잘하고 있다’고 긍정 평가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달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약 125만t을 2023년부터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8일 18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다.
한편 안동광 도 농정해양국장은 “국민 생명과 안전에 관련된 중대한 사안인 만큼 빈틈없이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