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한국 사정 충분히 이해’ 얘기 들어”
21일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서 백신 논의 주목
이수혁 주미대사는 미국 정부와의 접촉을 통해 “6월 전에 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10일(현지시간) 특파원 화상 간담회에서 “(오는 21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국 정부 또는 미국 제약업체로부터 백신을 조기에 공급받을 수 있을지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사는 “미국 정부가 한국의 사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면서 “(미국 제약회사인) 화이자의 고위 임원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사는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주미)대사관은 백악관과 국무부 인사를 접촉해 6월전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사가 ‘6월 전’이라고 시기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오는 21일 워싱턴에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백신 공급과 백신 핵심기술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 이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다만,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기간에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 최고경영자(CEO)와의 접촉 계획은 현재로서는 잡혀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백신과 관련해 이 대사는 “미국 정부의 국내용 유보 물량이 적정 수준으로 관리되면 미국 백신업체의 수출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대사는 이어 “미국은 동맹과 국제 협력을 강조하는 기조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000만회 공여 방침에 더해 백신에 대한 지식재산권 면제를 지지한다고 발표하는 등 자국 중심 정책에서 일부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미국이 백신을 독점하고 있다는 국제적 비판과 관련해 “미국 정부는 백신 및 원료의 수출을 법적으로 통제하고 있지 않고, ‘사실상의(de facto)’ 통제도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대사는 21일 개최되는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양 정상이 처음으로 갖는 대면 계기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 대사는 이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역대 어느 회담보다 실질적이고 국익에 도움이 되며, 한·미 양국이 만족할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식실무방문 형식인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방미에서는 지난달 16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방문 때보다 좀 더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쟁 전사자 이름을 새기는 워싱턴DC ‘추모의 벽’ 공사 현장 방문 등 일정이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또 중국 견제 목적의 비공식 협의체 ‘쿼드'(Quad)’에 참여하는 문제와 관련해 코로나19 백신·기후변화·신기술 세 분야로 진행되는 쿼드 워킹그룹에 참여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사는 바이든 행정부가 최근 새로운 대북정책을 마무리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결과적으로 우리 입장이 많이 반영된, 실용적이면서도 실질적인 대북전략이 마련됐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사는 이어 “미국도 (대북정책 마련의) 모든 과정에서 우리 측과 긴밀히 조율한 데 대해 만족하고 있으며 이번 대북정책 검토가 한미 공조의 결과라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대사는 “미국의 대북정책이 실제 이행되어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도 미국 행정부와 물샐 틈 없는 공조를 이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