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에 반기 든 화이자 “백신 지재권 면제되면 투자자 등돌릴 것”

입력 2021-05-08 13:39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 EPA연합뉴스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 면제에 반발하고 나섰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지지 의사를 밝힌 지 이틀만이다.

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비즈니스 전문 소셜미디어 링크트인을 통해 “(백신 지재권 면제가) 틀림없이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백신 지재권 면제란 전세계적인 코로나19 백신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약사가 특허권 행사를 포기하고 다른 나라의 복제약 생산을 허용하자는 구상이다.

불라 CEO는 지재권이 면제되면 “중요 원재료에 대한 쟁탈전이 촉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백신 제조 경험이 없거나 부족한 기업들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원재료를 찾아다님으로써 모든 안전이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화이자가 독일 바이오앤테크와 함께 내놓은 코로나19 백신은 19개국에서 공수한 280가지 물질과 성분을 이용해 만든다.

아울러 그는 백신 지재권 면제가 “다른 기업들의 의욕을 꺾어 모험을 하지 않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의 (지재권 면제) 발언들이 과학에 대한 우리의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꺾진 않겠지만, 전적으로 투자자들의 자본에 의존하는 수천곳의 소규모 바이오테크 혁신업체들에도 마찬가지일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들은 오직 지재권이 보호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5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의 지재권 면제를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백신 지재권이 면제되려면 세계무역기구(WTO) 164개 회원국이 모두 동의해야 한다. 일부 선진국이 자국 제약사를 의식해 반대할 가능성이 있어 협상이 쉽지만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바이오앤테크의 소재 국가인 독일은 지난 6일(현지시간) “지재권 보호는 혁신의 원천”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