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선 후보 경선을 두고 벌써 내홍을 겪고 있다. 친문계 일각에서 대선 후보 경선을 9월 초에서 11월 초 정도로 미루자는 주장이 나오자 이재명계는 “적절하지 않은 주장”이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재명계 좌장으로 평가받는 정성호 의원은 7일 TBN 라디오에서 “일반 국민들이 보기에는 ‘왜 저러느냐, 왜 당헌 바꾸느냐’, 그렇게 볼 것”이라며 “특정인을 배제하고 다른 후보를 키우기 위한 시간벌기가 아니냐는 프레임에 말려들어 본선에서 굉장히 위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민주당 당헌에 아주 예외적 상황이 아닌 이상 (대선) 180일 전, 6개월 전 후보를 확정하게 돼 있다”며 “원칙을 망가뜨리는 것은 국민의 신뢰를 떨어트리는 길이다. 명분도 없고 실리도 따져보면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역시 공개적으로 당내 대선후보로 이재명 경기지사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민형배 의원 역시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경선 연기는 대선 승리의 길이 아니다”라며 “패배를 앞당기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본다. 당 지도부가 이런 논란이 더는 뜨거워지지 않도록 서둘러 정리해 주시기를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대선 경선 연기론을 공개적으로 가장 먼저 제기한 친문계 전재수 의원은 이들의 주장을 재차 반박했다.
전 의원은 개인 SNS에 “대선후보 경선 연기는 당헌 개정사항이 아니다. 당무위원회 의결사항”이라며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다만 전 의원은 일각에서 친문 진영이 자체 후보를 옹립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경선을 미루자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특정 주자를 배제시키고 양성할 목적으로 시간을 벌려는 의도가 있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이 지사를 포함해서 민주당 내에서 거론되는 모든 주자들은 단 한 분도 예외없이 민주당의 가치와 노선안에 있는 분들”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논란에 대해 일단 송영길 대표는 “그런 고민은 아직 안 한다”며 당 재정비가 끝난 뒤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 지도부 관계자 역시 연합뉴스에 “지도부가 당내 여론을 살핀 뒤 후보들의 의견을 수렴해 결론을 낼 것”이라고 전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