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흑서’ 공동저자이자 공인회계사인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가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차녀 일가의 라임펀드 가입에 대해 “특혜성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고 주장했다.
김 공동대표는 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이들이 가입했던 펀드(테티스 11호)가 매일 환매가 가능하고, 수수료와 성과 보수가 0%였다는 점을 언급하며 “지극히 유리한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또 라임 사태가 불거지기 두 달 전인 2019년 4월에서야 이 펀드에 가입한 사실에 대해서도 “시점이 상당히 미심쩍다”고 강조했다.
김 공동대표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도 어디에 투자했는지 몰랐다”며 해당 의혹이 조 전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교수의 사모펀드 관련 의혹과도 비슷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도 테티스 11호 펀드를 전혀 모르고 관계없다고 하는데, 과연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약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김 공동대표는 “금융사기 사건은 자금의 흐름을 파악하는 게 사건의 전말을 파악하는 시작과 끝”이라며 “김 총리 후보께서도 억울한 점을 호소하고 있는데 결국 억울함을 해소갈 길은 조사의 결과, 자금 흐름의 결과로 입증하는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께서 (검찰의)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을 해체하고 많은 특수수사통들을 전국으로 뿔뿔이 흐트러뜨려 버려 자금 흐름을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선 민주당 의원들에게 ‘당 소속 의원들의 억울함을 호소하고 입증하는 유일한 방법은 자금의 흐름을 입증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호소하고 싶다”고 재차 강조했다.
아울러 “해당 펀드 설정일이 2019년 4월이다. 금융기관, 검찰에서 문제가 된 건 2019년 6월이지만 그 이전부터 흉흉한 소문이 돌았다”며 “과연 무슨 이유로 그해 4월에 해당 펀드를 설정하고 투자했을까 저로선 상당히 미심쩍다. 이 역시 김 후보자의 언설로 호소, 입증될 게 아니라 조사영역”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1조6000억원대 피해를 낳은 라임 사태의 핵심 인물인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이 김 후보자의 둘째 딸과 사위를 위해 12억원 상당의 ‘테티스11호’를 고액 맞춤형 특혜 펀드로 만들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김 후보자 측과 더불어민주당은 딸과 사위도 피해자라며 반박하고 있다.
서영교 의원은 증인으로 출석한 장영준 전 대신증권 반포WM 센터장을 상대로 라임 펀드 특혜 논란에 대해 질문했다.
장 전 센터장은 “(김 후보자를) 총리 후보라서 아는 것이지 개인적으로 아는 관계는 아니다”라며 “김 후보자로부터 부탁받은 일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 후보자의 차녀 가족이 환매 중단 상태로 돈을 돌려받지 못했다며 “현재 손실을 보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 의원이 후보자의 차녀 가족이 ‘피해자들이냐’고 묻자 장 전 센터장은 “그렇다”고 답했다. 서 의원은 “김 후보자 부탁을 받은 적이 없고 특별히 라임 운용사가 더 가져간 것도 없고 이 사람들은 피해자인가”라고 재차 확인하자 장 전 센터장은 “맞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도 “(펀드 투자 등) 경제 활동의 주체가 제 사위인 셈인데, ‘김 후보자 딸의 가족’ 이렇게 얘기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프레임”이라며 “도저히 알 수 없는 영역에 그림을 그려놓고, ‘이런데도 아니냐’고 하면 뭐라 하겠나”라며 발끈했다. 그는 또 “만약 그런 식으로 편법을 부리거나 권력을 행사했다면 제가 여기까지 어떻게 버텼겠나”라며 “제 나름대로 삶에 대한 기준이 있어서 여기까지 버텨왔다”고 강조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