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수도권 등 타지역으로의 청년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청년을 지역사회의 주역으로 만들기 위한 ‘청년내일마을’을 조성한다.
대전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전 청년내일마을’ 조성 관련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라고 6일 밝혔다.
청년내일마을 사업은 청년들에게 갭이어(자기탐색·쉼)와 일경험(취·창업준비), 주거(공유주택) 기능이 복합된 거점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청년들의 유입 및 지역정착을 유도하고 재충전·재도전의 기회를 부여하는 ‘테스트 베드’ 개념의 공간이다.
시는 연구용역을 통해 국내·외 청년마을 관련 우수사례를 조사하는 한편 청년마을로 활용할 수 있는 후보지를 대전 전역에서 발굴할 예정이다. 또 지역별로 차별화된 콘셉트의 청년마을 모델을 만든다.
연구용역은 오는 7월 완료를 목표로 대전세종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다.
연구에는 지역사회와 청년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활력센터’ 조성방안, 청년활력·자립지원 관련 프로그램의 콘셉트 등이 담겼다.
이중 지역활력센터의 경우 지역 주민과의 관계망을 통해 마을에 필요한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한다. 센터는 향후 작업실·교육실 등 청년중심 공간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연구원은 이와 함께 청년활력·자립지원 공간 등 청년내일마을만의 차별화된 전략, 마을 기능별 프로그램 개발, 재충전·재도전 기회를 부여하는 ‘지역살이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도 만들게 된다.
특히 학업이 중단됐거나 경력이 단절된 청년들에게 재도전 기회를 제공하는 ‘갭 이어(GAP YEAR)’ 프로그램, 청년들이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취·창업 프로그램인 ‘일자리 경험’ 등 전국에서 다양하게 추진 중인 프로그램과 지역살이 지원 플랫폼을 연계한다는 복안이다.
이밖에 청년내일마을 관련 인프라를 확대 구축하는 방안, 2030년까지의 단계별 추진방안도 연구 내용에 포함됐다.
박지호 대전시 청년정책과장은 “청년내일마을은 기존에 지역에 있는 공간과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청년과 해당 지역주민이 분리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다”며 “지역의 자산으로 꼽힐 만한 명품 공간으로 조성해 지속적으로 자생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염인섭 대전세종연구원 전략연구팀장은 “청년이 마을의 주체로서 지역주민과 협력·상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청년마을은 청년인구의 타지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지역정착을 유도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