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인사로 꼽히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일론 머스크나 빌 게이츠 같은 분이 있다 해도 우리나라에선 장관이 될 수 없다”며 국회 인사청문회 제도를 손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6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정책 검증과 도덕성 검증은 나눠서 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신상털기식으로 가버리면 정말 훌륭하신 분, 좋으신 분들이 잘 안 하려고 한다. 청와대에서 인사추천위원회를 하는데 좋은 분들을 발굴해 제안하면 ‘가족이 반대한다’는 이야기를 제일 많이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백지신탁제도를 언급하며 “(장관이 되면) 자기가 가진 주식을 다 내려놔야 한다. 자기 자식처럼 키운 기업의 주식을 포기하면서까지 장관 하실 분은 많지 않다”며 “우리나라에서는 주식을 다 팔아야 하니 일론 머스크라든지 빌 게이츠 같은 분들이 계신다 해도 그분들을 장관으로 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이 야당일 때 반대했던 방안 아니냐’는 지적에는 “여당 의원이라서 여당 때만 하는 것처럼 비쳐서 대단히 그렇긴 하다”면서도 “여야를 떠나 제도 개선을 해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사청문제도는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모든 부처에 도입됐다”며 “그 제도 자체는 좋다. 잘 발전시켜야 하는데 좋은 제도의 명암이 있다. 부정적인 것은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야당 패싱’ 문제를 두고는 “후보자에게 문제가 있다면 차분히 따지면 된다. 그런데 지금 야당은 무조건적인 반대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김부겸 총리 후보자 같은 경우 사리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박근혜정부 때 이완구 총리의 경우 원내대표 이후 바로 총리로 갔다. 자기네들은 되고 민주당은 안 된다는 식의 얘기는 너무 억지”라고 강조했다.
‘청와대의 검증 과정이 부실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그는 “청와대 인사검증팀에서 충분히 할 수 있는 조치 내에서는 다 하고 있다”며 “검증 과정에서 포기하는 분도 꽤 계신다. 걸러낼 수 있는 게 있고 못 걸러내는 게 있다. 대부분 다 걸러낸다고 본다”고 말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