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반면 나스닥은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7.31포인트(0.29%) 오른 3만4230.34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93포인트(0.07%) 오른 4167.59에 장을 마쳤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1.08포인트(0.37%) 떨어진 1만3582.42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는 이날 3거래일 연속 오르며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이날 주요 지수는 긍정적인 경제지표와 기술주들의 하락 속에 혼조를 보였다.
전날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의 금리 관련 발언에 기술주들이 크게 하락했으나 이날은 강한 반등세로 출발했다.
옐런 장관은 전날 한 인터뷰에서 “우리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리를 다소 올려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이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행사에서 해당 발언은 금리 인상을 “예견하거나 권고한 것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옐런 장관 해명에 개장 초 오름세를 보이던 기술주들은 경제지표 호조에 오름폭을 축소하거나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업들의 실적은 긍정적으로 나오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의 분기 순익은 반도체 부족에 따른 공급 차질에도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회사 주가는 4% 이상 상승 마감했다.
반면 질로우는 강한 주택시장에 힘입어 순익 전환했다고 밝혔으나 주가는 6% 이상 하락했다.
T모바일은 분기 순익과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아 주가는 4% 이상 올랐다.
모더나 주가는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 대표가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 면제를 지지한다고 밝히면서 6% 이상 떨어졌다. 화이자 주가는 보합세로 거래를 마쳤다.
우버와 도어대시 주가는 미 노동부가 트럼프 행정부 시절 마련된 임시 단기 노동자인 긱(gig) 노동자를 독립 계약자로 분류하기 쉽게 만든 규정을 무효로 했다는 소식에 각각 3%, 5% 이상 하락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