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맞겠다고 응답한 국민의 비율이 지난 3월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인식도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방식은 웹 조사와 모바일 조사를 병행했으며 신뢰수준은 95%이며 오차범위는 ± 3.1%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미접종자라고 밝힌 943명의 61.4%가 ‘접종을 받을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접종을 받지 않겠다고 답한 의견은 19.6%에 달했다. 나머지 19%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지난 3월 조사에 비해 예방 접종을 받겠다는 응답은 6.6% 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접종을 받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은 6.7% 포인트 상승했다.
예방접종을 받으려는 주요 이유는 ‘가족의 감염예방’(80.8%·이하 복수응답)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회적 집단면역 형성’(66.3%), ‘본인의 감염 예방’(59.9%), ‘일상생활에서의 안심’(5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접종을 망설이는 주요 이유로는 ‘이상반응 우려’(84.1%)가 가장 많았다. 이어 ‘백신 효과 불신’(66.8%), ‘백신 선택권 없음’(44.8%), ‘기본 방역수칙으로 예방 가능’(28.3%)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 방역정책에 대한 의견에는 응답자의 82.9%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수칙 강화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대부분은 ‘참여·자율 중심의 방역기조’에 동의(66.5%)하나, 유행이 심각해지는 경우 ‘다중이용시설의 일괄적인 영업 제한’에도 동의(79.2%)한다고 답했다.
방역수칙 실천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대체로 자신은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지만 다른 사람은 자신보다 덜 지키고 있다고 응답했다.
‘마스크 착용’의 경우 97.3%가 본인은 잘 실천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잘 실천하고 있다(90.2%)고 응답했다.
반면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의 경우 96.6%가 본인은 잘 실천하고 있지만, 다른 사람이 잘 실천하고 있다는 비율은 절반(59.3%) 수준에 그쳤다.
다중이용시설 이용시 등을 포함해 일상 속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판단하는 문항에는 ‘높다’가 27.1%, ‘낮다’가 60%로 각각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2.9%였다.
‘코로나19 스트레스’를 호소한 응답자 비율은 84.6%로, 지난 조사(87.3%)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중 ‘매우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다’는 응답자가 27.7%였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주된 이유로는 ‘코로나19 유행이 언제 끝날지 모르기 때문에’라고 답한 비율이 85.3%로 가장 높았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