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는 해양 외래종인 괭생이모자반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한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최근 우리나라 연안에 대량으로 떠밀려 와 연안어업 등에 피해를 유발하는 괭생이모자반을 소먹이와 전복용 사료 등 대체원료로 개발하는 연구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1~5월 제주도를 비롯해 서해안·남해안 등지에 대량 유입해 양식시설을 훼손하거나 양식 생물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등 피해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해안가에 쌓인 괭생이모자반은 부패하면서 발생한 악취와 오염으로 국민 생활에 불편을 주고 있다.
이에 국립수산과학원은 지금껏 수입산 미역 분말에 의존해오고 있던 전복용 배합사료 원료를 괭생이모자반 분말로 대체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또 축산 관련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한우 사육용 사료의 첨가제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미국과 호주에서는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를 사료에 참가해 소에게 먹인 결과, 소 트림으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80%가량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수과원은 갈조류에 속하는 괭생이모자반도 소의 메탄가스 저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최완현 국립수산과학원장은 “매년 대량 발생하여 양식산업과 국민 생활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모자반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소의 메탄가스 저감 효과도 구명해 탄소 중립(탄소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로 발전 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