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률 70%를 달성해도 집단면역 형성은 어렵다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의 분석에 대해 정부가 “집단면역 목표는 결국 일상회복”이라고 강조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4일 “집단면역 목표가 무엇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며 “바이러스 완전 퇴치를 목표로 하느냐, 일상생활 회복을 목표로 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집단면역 달성이 어렵다는 건 집단면역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이고, 그 목표가 바이러스 퇴치라면 사실상 달성이 어려운 부분이라고 해석한다”고 말했다.
윤 반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도 많고 계속 바이러스가 변화해서 집단면역을 통해 바이러스 퇴치 목표로 하는 건 애초에 생각하지도 않았고, 그런 목표를 두지도 않았다”면서 “집단면역 달성은 결국 일상생활 회복”이라고 강조했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도 “(감염률을) 독감 수준대로 낮추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며 “방법론에 있어서 충분한 숫자로 국민들을 예방접종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오명돈 중앙임상위 위원장은 전날 국립중앙의료원 미 공병단 신축 부지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접종률 70%에 도달한다고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거리두기가 종료되는 일은 저절로 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론적으로 집단면역 70%는 코로나19의 감염재생산지수가 3이라는 가정 하에 시작하는데, 이 수치가 불명확하고 감염 예방 효과가 95% 이상인 백신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설령 집단면역을 형성하더라도 면역력 형성 기간, 변이 바이러스, 자연계 바이러스 숙주 등의 영향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할 수는 없다고 봤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