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년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전기·수도·가스 등 공과금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상승했다. 특히 작황 부진과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에 농축수산물 가격이 두 자릿수 상승세를 나타냈다. 여기에 석유류, 공업제품 가격까지 상승하면서 소비자물가를 이끌었다.
4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로 전년보다 2.3% 올랐다. 이는 2017년 8월(2.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8년 11월(2.0%) 이후 최근까지 줄곧 0∼1%대를 오갔다. 지난해 5월에는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0.3%)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후 농산물 가격 상승, 국제유가 오름세가 겹치며 올해 2월(1.1%) 3월(1.5%) 지난달(2.3%)까지 상승 폭이 커졌다. 상품 가격은 1년 전보다 3.7% 올랐다. ‘장바구니물가’와 직결되는 농축수산물은 13.1% 상승했다. 이 중 농산물은 17.9%, 축산물은 11.3%, 수산물은 0.6% 상승률을 나타냈다.
국제유가 상승 여파에 공업제품 물가는 2.3% 올랐다. 석유류(13.4%)가 2017년 3월(14.4%)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지난해 코로나19발 충격에 유가가 배럴당 20달러대로 떨어졌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전기·수도·가스는 4.9% 하락했다. 서비스는 지난해 대비 1.3% 올랐다. 개인서비스는 2.2% 올랐고 공공서비스는 1.0% 하락했다. 개인서비스 가운데 외식물가는 1.9% 급등했다. 집세는 1년 전보다 1.2% 올랐다. 전세와 월세 상승률은 각각 1.6%, 0.7%를 나타냈다. 이 가운데 월세는 2014년 10월(0.7%)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4%,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1%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한 해 전보다 2.8% 올랐고 신선식품지수는 14.6% 뛰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