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세 두 달 연속 축소…급등 피로감 반영

입력 2021-05-03 16:01
서울 집값 오름폭이 두달 연속 축소됐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일대. 연합뉴스

서울 집값 오름폭이 두 달 연속 축소됐다. 전세난으로 촉발된 연말 급등기가 2월에 정점을 찍더니, 이로 인한 피로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땅 투기 논란으로 2·4 공급대책이 차질을 빚은 데다 공시가격 논쟁까지 벌어지면서 관망세가 커진 것도 원인으로 보인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주택 가격은 전주 대비 0.35% 올라 전월(0.38%) 대비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지난 2월 0.51%까지 확대됐다가 3월(0.38%), 4월(0.35%) 등 2개월 연속 상승 폭이 줄었다.

반면 주요 재건축 단지 밀집 지역은 집값 과열이 여전했다. 강남구(0.50%)는 압구정동 위주로, 송파구(0.44%)는 잠실·가락동 위주로, 서초구(0.42%)는 서초·방배동 상승세가 이어졌다. 강북권에서는 상계동 중저가와 월계동 재건축 위주로 오른 노원구가 0.69%를 기록해 서울에서 상승폭이 가장 높았다. 인천(1.47%)은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크게 올라 지난달(1.31%) 보다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세 부담(재산·종부세 등) 강화와 공급대책(2·4) 영향 등으로 일부 관망세 보이며 상승 폭은 소폭 축소됐으나, 서울은 규제 완화 기대감 있는 강남권 재건축 위주로, 경기도·인천은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서울 인접 지역이나 중저가 위주로 오르며 상승세 지속됐다”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2·4 공급대책 또한 신규택지 지정에 차질을 빚는 상황이다. 게다가 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돼도 주택 공급까지는 시간이 걸려 시장의 단기적인 등락에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집값 과열로 집값이 ‘상투까지 올랐다’는 분석도 이미 제기돼 왔다. 집값 급등 피로감으로 올해 1분기부터 집값 안정세가 시작될 거란 지적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공급 위주의 해결책을 제시한 2·4공급대책과 재건축 규제 완화 모두 예상과 달리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거나 부작용을 일으키면서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