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송영길호… ‘쇄신·경선·당내갈등’ 해결할 숙제 쌓였다

입력 2021-05-02 17:42 수정 2021-05-02 17:45

‘송영길호’ 깃발을 내걸고 새로 출발하는 더불어민주당 신임 지도부 앞에는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4·7 보궐선거 참패 이후 분출하는 당 쇄신을 통한 국민들의 신뢰 회복이 최우선 과제다. 대선이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경선 일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한 선결조건이기도 하다. 최근 ‘문자폭탄’을 기화로 재점화된 친문(친문재인)-비주류 갈등이 대선 레이스 발목을 잡지 않도록 조기 봉합해 내는 것도 송 대표에게 주어진 숙제다.

2일 당대표로 선출된 송 대표는 저조한 지지율이라는 불리한 조건에서 민주당의 조타기를 잡게 됐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은 30% 안팎을 겨우 지키고 있다. 이런 민심 이반의 결과는 이미 4·7 보궐선거 패배에서 여실히 드러난 바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때부터 제기된 ‘내로남불’ 비판여론이 LH 사태를 기점으로 터져 나왔다. 이대로라면 내년 3월로 예정된 대선에서 정권 재창출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당내 인식이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너나 가릴 것 없이 반성과 쇄신을 통한 신뢰회복을 지도부에 주문하고 있다. 수도권 한 재선의원은 “보궐선거는 민주당의 오만에 대한 국민의 질책”이라며 “송 대표의 초반 일정은 반성하고 사과하는 말들로 채워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쇄신책의 골자는 민생 회복에 맞춰지고 있다. 당내 초선의원 모임 ‘더민초’의 고영인 운영위원장은 “쇄신위원회를 구성해서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청년 일자리, 부동산 문제 등에 대한 민생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대표도 이런 문제의식에 공감하고 있다. 그는 당대표 수락연설에서 가장 시급한 민생 현안인 부동산 정책을 언급하며 “정부의 2·4 대책을 뒷받침하면서 주택 실수요자와 세제 문제 등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대선일정이 312일 남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민주당을) 원팀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어수선한 당내 분위기를 조기에 수습하지 못할 경우 곧장 진행될 경선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당이 구심점을 잡지 못하면서 경선이 각 여권 대선주자간 소모전으로 치달으면 정권 재창출 전략이 시작부터 꼬일 수 있다.


당대표 선거 때부터 쏟아진 ‘도로 친문(친문재인) 지도부’라는 비판도 부담이다. 송 대표부터 ‘범친문’으로 분류되는데다 이날 선출된 최고위원 5인 역시 친문 일색이다. 쇄신을 통해 전 지도부 체제와의 차별화를 보여주지 못한다면 민주당에서 이탈한 중도층 민심을 돌려세우기 어려울 수 있다. 여권 대선주자에 대한 주목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송 대표를 기다리는 또 다른 복병은 야금야금 덩치를 키워가는 친문-비주류 간 갈등이다. 쇄신 목소리를 낸 초선의원들을 향한 강성 당원들의 ‘문자폭탄’ 공격을 두고 조응천 민주당 의원 등이 그 폭력적 소통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이에 윤건영·박주민·김용민 의원 등 친문 주류 의원들이 맞서면서 갈등의 골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최악의 경우 경선 결과에 따라 당이 갈라지는 상황까지 올 수 있다”며 “송 대표가 갈등을 조기에 봉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전국 당원, 대의원과 카카오톡 메신저로 소통하며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