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느려지면서 위기를 느낀 주 정부들이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앞다퉈 각종 인센티브를 내놓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웨스트버지니아주는 백신을 맞는 16∼35세 주민들에게 100달러짜리 예금증서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백신 접종률이 낮은 젊은 층을 접종소로 유도하기 위해 현금성 유인책을 마련한 것이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는 백신을 접종할 사람을 데려오는 주민에게 50달러짜리 현금카드를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공짜와 특별할인을 활용하는 주도 있다. 코네티컷주는 백신 접종자가 이달 19~31일에 음식을 구매하면 공짜 음료를 받도록 하는 아이디어를 냈다. 주민들의 외식을 유도해 코로나19로 침체된 외식업계도 살리고 백신 접종률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일리노이주 시카고는 백신 접종을 마친 주민이 미용실 등지에서 특별할인을 받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주 정부들이 인센티브 마련에 공을 들이는 건 최근 들어 백신 접종 속도가 느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성인 중 1회 이상 백신 접종을 마친 비율은 55.4%이고 접종을 완전히 끝낸 비율도 39%에 달하지만 접종 속도 자체는 차츰 느려지고 있다.
옥스퍼드대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일주일 평균 백신 접종자 수’는 지난달 13일 338만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현재는 75% 수준인 254만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제 백신 접종을 꺼리는 이들을 설득하는 어려운 작업만 남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주 당국은 백신 접종을 장려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용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금껏 쓴 돈에 비하면 ‘새발의 피’라는 논리를 펼쳤다. 짐 저스티스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는 “팬데믹으로 인한 지출에 비해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은 매우 미미한 수준일 것”이라고 밝혔다.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백신 접종의 기회비용이 작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백신 접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접종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오스틴 볼드윈 서던메소디스트대 심리학과 교수는 일반적인 분야에선 의무가 효과적이지만 “적어도 백신에 있어서 접종을 꺼리는 이들에게 ‘의무’가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며 “심리적 차원에서 자율성에 따라 사람들이 스스로 결정을 내린다고 느끼게 하는 인센티브가 보다 효과적인 접근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