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친문재인) 강성 지지층의 이른바 ‘문자폭탄’을 놓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간 의견이 갈리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포문은 당내 ‘미스터 쓴소리’를 자처하는 조응천 의원이 열었다. 조 의원은 29일 오전 CBS 라디오에 출연해 강성 지지층이 보내온 인신공격성 문자 메시지 일부를 공개했다.
‘당신이 쓰레기라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면 성공입니다, 축하합니다. 그쪽 일당들과 다 같이 탈당하고 더민주 이름을 더럽히지 말라.’
‘기를 쓰고 뛰어봐야 그 발끝의 때도 못 미치는 인간이라는 걸 오지게(매우) 인정한 거야. 응, 니 얘기야.’
조 의원은 이어 “지금도 제 주위에 끙끙 앓으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의원들이 많다”며 “계속 의견을 나누고 뜻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함께 뜻을 모으고 있는 의원이 10~20명 정도라고 소개하며 강성 지지층의 잘못된 언행에 대한 입장을 제시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소위 말하는 비주류 혹은 쇄신파, 이런 게 생겨나야 내년 대선에서 우리에게 희망이 생긴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비주류 진영의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도 지난 2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강성 지지층의 문자폭탄과 관련해 “일반 당원의 의지가 소수의 과격한 주장과 표현 방식에 의해 과도하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면 좋겠다”면서 “연락처를 1000개쯤 차단하면 안 들어온다고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당 주류의 생각은 완전히 다르다. 강성 지지층의 목소리도 귀 기울여 들어야 할 ‘당심’이므로 배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윤건영 의원은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선출직이라면 그 정도는 감당하고 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의사 표현 수위와 내용이 욕설이나 인신 모독이라면 문제지만, 소속 의원에 대한 의사를 표현하는 정도라면 그 자체를 비난할 수 없다”면서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은 ‘대통령을 욕해서 주권자인 국민의 속이 풀린다면 얼마든지 하라, 그게 온당하다’라는 취지의 말도 한 적 있다”고 말했다.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한 김용민 의원도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하는 지지자들이라고 생각한다”며 “당연히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그런 적극적인 의사 표시는 권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성 지지층의 과도한 언행을 놓고 당장 주류 대 비주류 간 충돌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선 경선이 본격화되고 강성 지지층의 이 지사를 향한 공세가 강화되면 2017년 대선 경선 당시 심각하게 불거졌던 당내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주류 진영의 한 의원은 “친문 의원들은 본인이 당해보지 않아 그 모멸감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하지만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면 사소해 보이는 감정싸움이 걷잡을 수 없는 당내 갈등으로 비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