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검사를 받고 2주간 자가격리를 하면 일선 공무원들이 직접 전화를 걸어 자가격리자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오는 5월부터는 AI(인공지능)가 이 업무를 대신해준다. 전국 광역지자체 중 충북에서 최초로 시행된다.
충북도와 ㈜KT는 29일 도청에서 재난안전분야 행정업무에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는 이번 협약으로 재난안전 분야에 KT의 AI 보이스봇을 활용한 아웃바운드(OB) 시스템을 도입한다. 아웃바운드 시스템은 지정된 시간에 직접 전화를 걸어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통화내용은 바로 컴퓨터에 저장되고 이상 증세가 있다고 한 사람은 실시간으로 문자와 전화로 공무원에게 통보된다. 이 서비스는 90% 이상의 음성인식 정확도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수신자들도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 천 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도내 시·군에서 시행된다.
그동안 공무원들은 코로나19 자가격리자 매뉴얼에 따라 2주간 매일 1차례 자가격리자에게 전화를 걸어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자가격리자 1명당 2~3분의 시간이 소요됐다.
현재 도내 자가격리자는 일 평균 2000여명에 달해 공무원 1명이 수행할 경우 14.2일이 걸린다.
도는 AI가 자가격리 모니터링을 대행할 경우 업무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시범사업으로 풍수해보험과 재난배상 책임보험 갱신 안내, 코로나19 자가격리 일일 모니터링 업무를 추진할 계획이다.
KT는 일상생활과 행정에서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도는 앞으로 AI 기술 저변확대를 위해 재난분야 물론 AI 기술 적용이 가능한 행정업무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이시종 지사는 “충북도가 광역지자체 최초로 KT의 AI 기술을 행정에 도입했다”며 “도민에게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행정 구현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