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주 수소산업 협력 라운드테이블 개최

입력 2021-04-29 10:01
H2KOREA 제공

수소융합얼라이언스(회장 문재도, 이하 H2KOREA)와 주한호주대사관(대사관 캐서린 레이퍼)은 4월 27일(화) 한국-호주의 수소경제 협력 강화를 위해 「한-호주 수소협력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한-호 수소협력 라운드테이블에는 양국 정부, 공공기관, 산·학·연, 금융사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양국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산업 동향을 공유하면서 관련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고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19년 9월 양국 정부가 수소협력 의향서(LOI) 체결에 따라, 수소경제 분야의 공동 협력사업 발굴·기획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정부와 산·학·연 전문가가 함께 논의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소에너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실현과 경제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세계 각국은 수소경제를 촉진하기 위하여 국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아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수소산업 전 주기에 걸쳐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아가고 있다.
특히 정부는 203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국내 수소 수요량에 선제 대응을 위해, 국내 생산과 해외 수소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타당성 조사의 선행을 목적으로 지난해 국책과제를 통해 ‘한국형 CO2-free 해외수소 도입 전략 수립’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호주 수소경제 소개(호주정부), 한국판 뉴딜과 수소경제(산업부), AREH 소개(아시아재생에너지허브), 해외 CO2-free 수소공급망 구축을 위한 타당성 분석(BCG코리아)을 발표했다.
제이미 이스비스터 호주 환경대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호주 정부는 저탄소 기술에 2030년까지 18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며, 한-호 에너지자원 협력위원회 산하의 수소기술 워킹그룹을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산업부 최연우 과장은 기업이 참여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해 현실적인 국제협력 모델을 만들어 가자고 제안했다. 호주 AREH 앤드류 딕슨 개발 매니저는 수소 관련 프로젝트로 경쟁력을 갖춘 장기적·안정적 그린암모니아 및 수소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BCG 최인진 파트너는 해외 CO2-free 수소공급망 구축을 위한 수소 수입 및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양국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방안 방향에 대한 의견들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호주의 수소관련 대형 프로젝트 계획과 추진사항을 지속해서 공유함으로써,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등 양국 공동사업을 발굴·기획하기로 하였다.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은 “한국과 호주는 그간 에너지 분야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며 “최근 세계 각국이 수소경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오늘 회의를 통해 양국의 수소경제 강점이 공유돼 동반성장을 위한 미래전략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캐서린 레이퍼 주한호주대사관은 “호주 정부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기술력 제고를 목적으로 국가 간 공통 투자 유치를 위한 재정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번 라운드테이블과 향후 개최될 워크숍은 호주 정부와 한국 기업 간 협력 사항을 확대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호임수 기획위원 is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