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소속 구청장들과 24대 1로 고군분투했던 유일한 야당 출신 조은희 서초구청장이 든든한 원군을 얻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다. 오 시장의 가세로 ‘나홀로 야당’에서 ‘원플러스원’으로 팀 플레이가 가능해진 것이다.
28일 열린 서울시구청장협의회 정기회의는 4·7 보궐선거 이후 달라진 서울시와 구청장 역학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자리였다. 오 시장은 구청장들과의 영상회의에서 공시가격 급등에 따른 세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재산세 감경 대상을 현행 1가구 1주택 6억원에서 9억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정부에 공동 건의하자고 제안했다. 지난해 재산세 감경 집행에 나섰던 서초구를 상대로 서울시가 대법원에 집행정지 소송을 제기했던 것과 정반대 모습이다.
조 구청장은 회의가 끝난 뒤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서울시의 변화를 적극 환영한다”면서 “서울시가 대법원에 제기한 ‘재산세 감경 조례 집행정지’ 소송도 즉각 취하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동진 구청장협의회장(도봉구청장)은 “협의회 내부 검토가 필요하다”며 “이미 국회에서 다각적인 방안이 검토되고 있고 민주당 부동산특위에서도 논의가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기다려볼 필요가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이 구청장은 또 “재산세는 지자체의 중요한 재원인데 정부가 일방적으로 경감 조치를 해놓고 세수 보전대책은 마련하지 않아 문제제기를 했다”고 말했다. 조 구청장도 재산세 감경으로 인한 자치구 재원 보전 문제를 서울시가 중심이 되어 해결해줄 것을 요청했다.
오 시장은 여야를 떠나 구청장들과 적극적인 소통과 대화를 추진할 것을 약속하며 서울시와 자치구의 상생을 강조했다. 또 자치구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서둘러 달라고 요청했다.
조 구청장은 “유일한 야당구청장인 제 입장에서는 24개 민주당 구청장 한가운데에 우리당 출신 서울시장이 앉아있는 모습을 보면서 남다른 감회를 느꼈다”고 전했다. 이어 “온리원에서 원플러스원! 민선 7기 내내 유일한 야당구청장으로서 외로웠는데, 앞으로는 덜 외로울 것 같다”며 “특히 달라지고 있는 서울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고, 서울시의 기분 좋은 변화가 더욱 기대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2018년 지방선거 당시 박원순 전 시장은 서울시 선거를 진두지휘하며 25개 구청장 민주당 후보를 동반 당선시키겠다고 선언했으나 서초구 한 곳만 석권하지 못했다.
한편 박성수 송파구청장이 결식 아동 급식 단가를 현행 6000원에서 9000원으로 인상하자고 제안했고, 서울시는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