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수용량을 초과하면서 발전기 가동을 인위적으로 멈추는 일이 점점 잦아지고 있다. 급기야 제주도가 전력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총량제 도입 검토에 들어갔다.
28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올 들어 도내 풍력발전기 강제 종료 횟수가 45차례에 이른다. 2015년 3회에 불과했던 풍력발전기 출력 제어는 매년 늘어 지난해 77회까지 급증했다. 제어량도 같은 기간 152㎿h에서 1만9449㎿h로 크게 늘었다. 지난 11일에는 도내 공공 태양광발전설비도 처음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
발전기 출력 제어는 에너지 공급량이 수요를 일정 수준 이상 초과할 때 전력거래소가 한전에 차단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공급이 지나치게 많으면 과전류가 흘러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강제 종료가 잦아지는 것은 그동안 제주도가 전력계통 수용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대에만 치중했기 때문이다.
도내 태양광발전사업 총 허가건수는 2016년 361건에서 2020년 1182건(누적)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도내 풍력발전기 설치 대수도 1998년 첫 설치 이후 123대까지 늘면서 제주지역 풍력, 태양광발전설비를 통해 생산되는 재생에너지 규모(743㎿)는 도내 전력계통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량(연간 최대 590㎿)을 넘어선 상태다.
정부도 심각성을 알고 지난 3월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을 포함한 지역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제주도는 일단 현실적인 재생에너지 수용능력을 감안해 연차별 보급 총량을 설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중 9500만원을 들여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총량제 검토 연구용역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태양광발전설비 신규 허가 문턱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태양광발전설비가 우후죽순 늘면서 전력량이 급증해 수급조절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포화상태에 이른 만큼 신규 허가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제주도는 ‘탄소없는 섬’ 제주 실현을 위해 2030년까지 제주도 전력생산을 100%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6년 원희룡 제주지사는 ‘감귤원폐원지 태양광 전기농사’ 사업 시공 업체를 직접 발표하면서 “감귤원 폐원지가 향후 20년 간 제주 농가의 중요한 수익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