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충남지역의 중소 제조업체 중 절반은 매출 감소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연구원 신동호 선임연구위원과 강수현 연구원은 ‘2021 충남도정에 바란다:중소제조업 편’ 연구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달 15~31일 충남에 위치한 제조중소기업 108곳의 경영 애로사항, 정책 평가 및 지원수요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47.2%는 ‘지난해 매출실적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산업별로는 화학제품과 금속가공, 전기장비, 기계장비 제조업 분야의 매출감소 폭이 컸으며 식품제조업은 상대적으로 감소 수준이 적었다.
올해 경영환경에 대해서는 ‘경기가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36.1%에 달했다. 그 이유로 ‘코로나19상황에 따른 경기침체 지속’이 전체 응답의 57.3%로 가장 높았으며 인건비 상승 14.7%, 경쟁 심화 10.7%, 자금 악화 6.7% 순이었다.
특히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사업체의 유지 가능 시한을 ‘2년 이하’라고 응답한 비중은 59% 달했으며 ‘6개월 이하’라고 응답한 기업은 12%였다.
연구진은 “올해 가장 시급한 지원정책으로 전체 응답자의 61.3%가 ‘금융지원’을 꼽았다”며 “이는 코로나19로 중소제조업체들의 자금조달 사정이 악화됐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대상 기업 중 충남도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수혜를 받는 기업은 19%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혜택을 받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에 대해 응답기업의 43.7%는 ‘지원사업에 대한 홍보부족에 따른 정보부재’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지원내용이 부적합했기 때문’이라는 의견은 19.5%, 자격 제한은 17.2%, 복잡한 신청절차 13.8%, 부족한 지원규모 4.6%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도내 제조업 관련 기업 중 중소기업체의 수는 4050개로 전체의 95.9%, 종사자 수는 16만874명으로 전체의 63.3%를 차지했다. 사업체 수 비중을 제외하면 충남은 종사자 수, 생산액, 출하액, 부가가치의 중소기업 비중이 전국 평균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정부·지자체의 코로나19 피해 관련 정책이 다수 시행됐지만 정책의 만족도와 효과는 다소 아쉬웠다”며 “피해업체·업종의 특별금융 지원, 세제 지원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보편적 지원에 대한 수요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세하고 규모가 작은 회사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 제한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