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12조원대 상속세 납부 등 사회환원안에 대해 “2008년 이 회장의 차명재산 사회헌납 약속을 따르면 6조원 정도의 기부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6분의 1 수준의 사회공헌을 발표하면서도 통 큰 결단을 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입장을 냈다.
경실련은 28일 “상속세 납부와 사회공헌은 당연한 것으로 과도하게 이미지 마케팅해 사면여론 조성에 활용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삼성가는 1대 고 이병철 회장, 2대 고 이건희 회장, 그리고 현재 이재용 부회장에 이어지는 세습과정에서 불법 및 편법 경영권 승계로 실망감을 줬고, 그 대물림 과정에서 조세포탈죄와 관련해 유죄판결을 받았다”며 “이런 상황에서 상속세는 당연히 정상적으로 내야 한다. 사회공헌 금액 역시 2008년 삼성 비자금 특검 당시 드러난 고 이건희 회장의 차명재산 사회환원 약속에 한참 못 미친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이어 “주식과 부동산 등 상속대상 재산에 대한 구체적 배분 금액과 고 이건희 회장의 미술품 기증 목록을 구체적으로 발표해야 한다. 상당한 규모의 문화재 미술품 기증을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혀져 있지 않다”며 “미술품 구입의 재원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미술품 구입과 관련해 2008년 삼성 특검 시 차명주식 배당금 중 일부가 삼성가 미술품 구입에 사용된 정황도 포착된 만큼 기증 이전에 미술품 구입과 관련한 자금 출처도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상속세 납부와 기부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이를 이재용 사면의 꼼수로 활용하려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대통령과 정부, 정치권에서는 사면 여론을 수용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삼성은 이날 이 회장 유산에 대한 상속안을 공개했다. 12조원 규모의 상속세, 3조원으로 추산되는 미술품 기부, 1조원의 의료지원 등이 골자다. 이 회장의 재산은 주식, 미술품 등을 모두 더해 20조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