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과거수사 입장 밝히라”…국힘서 첫 불만 표출

입력 2021-04-28 05:00 수정 2021-04-28 05:00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지난달 4일 사표를 내고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청사를 떠나기 전 직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윤성호 기자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에 연루돼 법정에 섰던 국민의힘 김용판 의원이 당시 수사를 주도했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입장을 묻는 기자회견을 28일 오전 열기로 했다. 윤 전 총장이 야권 유력 대선주자로 부상한 이후 국민의힘 의원 중 윤 전 총장이 검사 시절 했던 수사를 직접 겨냥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하고 사과를 요구하는 건 처음이다.

향후 국민의힘과 윤 전 총장 간 ‘대선 동맹’을 모색할 때 이 구원(舊怨) 문제가 변수나 장애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 의원은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과거 없이 현재가 없고, 현재 없이 미래도 없다”며 “검찰의 몰아치기 적폐수사로 아픔을 겪은 사람이 나 하나가 아니다. 과거 일에 대해서는 윤 전 총장 본인이 감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서울경찰청장 시절 경찰의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를 축소·은폐시킨 혐의로 2013년 6월 불구속기소 됐다가 2015년 1월 대법원에서 무죄 확정판결을 받았다. 검찰 특별수사팀장이 윤 전 총장이었다.

윤 전 총장이 현재 야권 대선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는 있지만, 과거 수사에 대한 ‘책임’ 문제는 따져야겠다는 게 김 의원 입장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윤 전 총장이 과거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반성과 사과를 해야 각종 수사로 상처 입은 보수 진영의 지지도 받을 수 있다는 취지”라고 전했다.

국민의힘 김용판 의원. 연합뉴스

윤 전 총장은 검찰에 있을 때 국정원 댓글 수사를 비롯해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 수사, 현 정부의 적폐수사 등을 지휘했다. 직·간접적으로 검찰 수사 대상이 됐던 인사들 입장에서 보자면 과거의 적이 현재의 잠재적 동지가 된 상황이다. 양측이 한배를 타게 되더라도 돌발적인 반감 표출이 언제든 새나올 수 있다는 뜻으로, 보수 진영의 ‘견제구’ 성격도 있다.

김 의원은 “내가 공개적으로 문제제기하는 첫 주자지만, 국민의힘 구성원 모두가 윤 전 총장 영입에 호의적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에 반대한다’가 핵심이 아니라 ‘입장을 밝히라’는 것”이라며 “어찌 보면 (여권에 앞서) 먼저 검증하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경북(TK) 지역의 한 의원은 “지역 유권자 중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문제 등으로 윤 전 총장에 대한 반감이 남아있는 분들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윤 전 총장으로서도 대선에 도전하려 한다면 이런 앙금은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것이다.

다만 내년 대선 승리가 절박한 상황에서 윤 전 총장에 대한 반발은 개별 의원 차원의 성토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많다.

TK 지역의 다른 재선 의원은 “정권교체 열망이 높기 때문에 TK에서도 윤 전 총장에 대한 비토 분위기는 거의 없다”며 “어찌 됐건 현재 지지율 1위의 유력 대선주자 아니냐”고 했다. 국민의힘 주요 당직자도 “대선 승리가 우선 명제”라며 “(수사를 받았던) 당사자들이야 속으로 반감이 있을 수 있겠지만, 윤 전 총장과 함께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훨씬 크다. ‘내부 총질’에 대한 여론 역풍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한 초선 의원은 “당 전체 입장에서 과거에 얽매여 유력후보를 내버려 두고 선거를 치른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면서 “윤 전 총장도 결국은 넘어야 할 과제로 보고, 본인 스스로 적절하게 스탠스를 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지호일 강보현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