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4·27 판문점 선언 3주년인 27일 “북한도 판문점 선언 정신에 따라 조속히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은 판문점 선언 관련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침묵하고 있다.
이 장관은 이날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와 한국종교인회의 등이 경기도 파주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주최한 ‘4·27 남북정상회담 3주년 기념행사’ 축사에서 “우리는 북측과 언제 어디서든 형식에 구애됨 없이 어떤 의제에 대해서도 대화할 용의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노이 노딜’ 이후 좀처럼 대화의 문을 열지 않는 북한을 향해 대화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한 것이다.
이 장관은 3년 전 판문점 선언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지속하기 위한 기틀이 됐다고 평가하면서도 “3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그 날 두 정상과 온 겨레의 바람만큼 남북 관계와 한반도 평화를 진전시키고 있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동의를 추진해 남북 관계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지난 1월 ‘2021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동의안을 국회에 다시 재출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와 관련해 “그동안 필요한 준비를 다시 시작했고, 거의 완료한 상태”라며 “향후 정당과 국회, 국민적인 합의 과정을 거쳐 적당한 시기에 다시 국회 동의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19 보건·의료협력을 시작으로 쌀과 비료 등 민생협력으로 확대되는 포괄적인 인도협력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판문점 선언 관련 어떤 보도나 논평도 내놓지 않으며 내부 결속 다지기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노동신문은 ‘청년중시의 빛나는 새 역사를 펼쳐가시는 걸출한 위인’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청년 중시 사상을 부각하면서 김 위원장에 대한 충성을 독려했다. 북한은 지난 1월 제8차 노동당 대회 이후 남측을 비롯해 미국의 대화 제안을 거절한 채 체제 결속에 고삐를 쥐고 있다. 일각에선 미국의 새 대북정책이 발표될 때까지 북한의 침묵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공동취재단·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