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여행업계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모였다. 이들은 다른 지역과도 힘을 합쳐 여행업계 생존을 위해 싸울 방침이다.
대구지역 여행업계는 27일 ‘대구시 여행사비상대책협의회’를 구성했으며 대구시를 찾아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집회도 열었다.
이들은 “벼랑 끝에서 절실한 생존의 문제에 직면해 절박하고 처절한 심정으로 모였다”며 “코로나19 발생 후 15개월 동안 영업 정지 상태로 매출액이 0이 아닌 마이너스라는 참담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5인 이상 모객 제한, 정부의 여행 자제 등 정부의 지침에 적극 협력했는데 정부와 대구시의 탁상행정에 여행인들의 생존권이 위협 받는 상황까지 왔다”며 “집합금지 대상 업종 지정이 당연한데도 정부와 관련 부처는 책임을 회피했고 결국 4차 재난지원금에서도 집합금지 업종으로 지정되지 못했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이어 “다른 지역에서는 자체 지원금을 지원하기도 하는데 대구시는 3차 재난지원금 대상이었다는 이유로 대구시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정부와 대구시에 여행사의 집합금지 업종 포함, 관광진흥 개발기금법에 위기재난지원금 조항 제정, 여행사 임대료 지원 및 공유오피스 지원, 사업주 고용유지금 적용, 여행사 손실보상제 대상 포함, 대구형 버팀목 전 여행사 지급, 관광 일자리 창출해 여행업종사자 우선 배정 등을 요구했다.
이한수 대구시 여행사비상대책협의회위원장은 “사무실 임대료, 직원 월급, 보험료 등을 감당하기 위해 집을 팔기도 하고 쿠팡 배달, 공공근로, 대리운전, 매각 등으로 버텨왔지만 한계에 다다랐다”고 말했다.
대구시 여행사비상대책협의회는 자신들의 처지와 요구 사항을 알리기 위해 다음 달까지 대구시 앞에서 집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또 오는 30일 전국 시·도 여행사비상대책협의회와 함께 세종시 정부청사를 방문해 집회를 열 계획이다.
대구=글·사진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