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필수 인력인 경찰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지난 26일 시작됐다. 이런 가운데 경찰 내부에서 접종 여부를 경찰관 자유에 맡긴다는 약속과 달리 사실상 백신 접종을 강제하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27일 뉴시스에 따르면 전날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경찰관에게 백신을 강제로 맞으라고 압박하는 동대문경찰서장”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서울 동대문경찰서 소속 경찰관으로 추정되는 작성자는 “경찰관에게 백신을 강제로 맞으라고 강요하는 동대문경찰서장을 고발한다”며 경찰서장이 내려보낸 공문으로 보이는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문서에는 “우리 동대문서는 전 직원이 맞도록 합시다” 등 경찰관들의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문서에 따르면 서장은 “경찰 백신 접종 시기가 빨라지고 일부 언론이 내부 불만 여론을 보도해 경찰청에서도 ‘희망자만 맞으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준 이후 백신 접종률이 40%밖에 되지 않는다”고 낮은 접종률을 지적했다. 이어 “제가 보기에는 불안감 때문이 아니라, 희망자만 맞으라고 하니까 직원들이 그 중요성을 자각하지 못해서 그런 거라 본다”고 덧붙였다.
서장은 특히 지난 2일 동대문서에서 확진자가 5명 발생해 수사에 차질이 생겼다는 점을 언급, “우리 동대문서는 전 직원이 맞도록 하자”고 당부했다. 또 “사회 안전뿐 아니라 경찰관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지역관서장들이 신경 써서 적극 참여해 접종 기회에 백신을 맞아야 한다”며 “백신을 맞을 수 있다는 건 경찰관의 특권”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공문을 블라인드에 폭로한 작성자는 “전국 모든 경찰서장이 관서장을 압박하고 전화 돌려서 백신 맞으라고 종용하고 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찰서장이 파출소장, 지구대장 등 지역관서장과 팀장들을 압박하고 권고하는 건 ‘너 백신 안 맞으면 고과로 불이익 줄 테니 그냥 맞아’라는 말과 똑같은 뜻인 걸 누가 모르느냐”고 지적했다.
해당 제보 글에는 경찰로 추정되는 다른 누리꾼들이 “우리 경찰서엔 저런 건(공문) 없지만 단체 대화방에서 압박을 준다” “나도 방금 과장한테 백신 맞으라는 전화를 받았다” 등 공감을 표하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논란이 일자 동대문서 관계자는 “해당 문서는 동대문서 관할 지구대, 파출소장들에게 내려진 전달사항일 뿐 공문은 아니다”며 “기저질환이 있거나 백신 공포감이 있는 경찰은 백신을 맞지 않아도 된다는 단서조항도 분명히 포함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