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동의 영상이 깨끗하게 나오고 음성도 선명하게 들립니다”(판문점 평화의집)
“내일 남북 간 영상회담이 열려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서울 남북회담본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구상한 ‘남북 비대면 회담’이 북측의 호응만 있다면 가능할 전망이다.
통일부는 4·27 판문점 선언 3주년을 하루 앞둔 26일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 3층 대회의실에 영상회의실 구축을 끝내고 시연회를 가졌다. 통일부는 코로나19 상황 장기화에 따라 북한과의 비대면 접촉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판단해 지난해 하반기 영상회의실 구축에 돌입했다. 통일부는 총 4억원의 예산을 들여 풀 HD급 카메라 여섯 대와 98인치 대형 액정표시장치(LCD) 모니터 네 대, 영상회의 전용 코덱(CODEC·복합 변조기), 통합제어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 영상회의실을 마련했다.
시연회는 남북회담본부에서 북한대신 판문점 평화의집을 연결해 통일부 당국자들 간 대화를 갖는 식으로 진행됐다. 당국자가 마이크를 켜고 대화를 나누는 사이 회의실 전방에 설치된 두 대의 대형 모니터 속에 발언자 각각의 얼굴이 클로즈업됐다. 대화가 끝나고 발언자가 마이크 전원을 끄자 모니터 속 화면은 발언자의 얼굴에서 회의장 전체 모습으로 빠르게 바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영상회담은 대면회담과 큰 차이가 없다”며 “합의서 문안의나 회담에 필요한 자료들은 팩스로 전달한다”고 말했다.
특히 남북 간 합의만 있다면 비대면 회담을 여는 데 기술적인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는 게 통일부 판단이다.
이 당국자는 “남북 간 전용 통신망을 활용해 호환성을 확보했고 북한도 코로나19 상황 이후 내부적으로 영상회의를 진행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어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당 정치국 회의와 중앙군사위원회 회의 등 주요 회의들을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고 있다.
통일부는 또 남북한이 회담 대표단 규모를 최소화해 만나는 ‘안심 대면회담’ 운영 방안도 소개했다. 안심 대면회담은 방역 수준에 따라 회담 절차와 방역 조치, 대표단 인원수를 세분화해 크게 ‘완전 비접촉 회담’ ‘접촉 최소화 회담’ ‘방역 안심존 회담’ 등으로 구분된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