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2분기가 문제”…靑, 한·미정상회담서 ‘2분기 확보’ 집중한다

입력 2021-04-25 17:13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올해 3분기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2000만명(4000만회)분 추가 도입 계약으로 한숨돌린 청와대가 2분기 물량 확보에 주력할 전망이다. 3~4분기 물량이 충분하다는 판단 하에 5~6월 ‘백신 보릿고개’ 돌파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5월 하순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2분기 백신 수급 방안을 중점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5일 정부의 화이자 물량 추가 도입과 관련해 “한·미 정상회담 테이블에 올릴 의제가 일단 줄었다. 부담이 덜해졌다”며 “협상이 훨씬 더 유리해졌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 등 주요국가에 비해 한국의 백신 접종이 크게 뒤처진 상황에서 다음 달 바이든 대통령과 만나 백신 공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화이자 물량 추가 계약으로 회담에 나서는 문 대통령의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는 3분기 4000만명분(8000만회분), 4분기 4500만명분(9000만회분) 등 3분기 이후 도입 물량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2분기가 문제다. 아스트라제네카(AZ)·얀센 백신의 혈전 생성 여파로 2분기 국내 백신 공급이 더딘 상황이다. 6월까지 공급받기로 확정한 물량은 약 904만명(1809만회)분이다. 정부가 목표로 하는 ‘상반기 1200만명 접종’을 달성하려면 여전히 300만명분이 부족하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 물량 조기 도입 등을 논의하며 2분기 백신 공백을 채울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다만 청와대는 미국 주도의 반중 안보협력체인 쿼드(Quad) 참여나 반도체 투자 등은 현재 고려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미국 측으로부터 쿼드 참여에 대한 공식 요청이 들어오지 않았다. 또 반도체 공장과 백신을 맞바꾸지는 않을 것”이라며 “백신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대신 청와대는 미국 정부에 한·미 백신 스와프 도입을 지속적으로 설득할 방침이다. 문 대통령이 다음 달 미국 현지에서 백신 제조사 대표를 직접 만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