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을 약한 지도자이자 협상가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이 최근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핵심에 다다르지 못했다고 진단한 데 따른 반발로 해석된다.
AFP통신,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이메일 성명에서 자신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달랬던 노력에 대해 문 대통령이 배은망덕(ungrateful)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에 대해 장기간 지속된 군사적 바가지 씌우기와 관련한 것을 제외하면 지도자로서, 또 협상가로서 약했다”고 비판했다. 또 “가장 힘든 시기에 알게 된 (그리고 좋아하게 된) 북한의 김정은은 문재인 현재 한국 대통령을 존중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같은 비판은 문 대통령이 지난 21일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대해 “변죽만 울렸을 뿐 완전한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한 데 따른 반격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성명에서 문 대통령을 비판하면서 자신이 한반도 평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을 향한 (북한의) 공격을 막은 것은 언제나 나였지만 그들에게 불행하게도 나는 더 이상 거기(대통령직)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세 차례에 걸친 정상회담을 통해 김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등 북·미 관계에 활력을 불어넣기도 했으나 결과적으로 교착상태를 풀어내지 못한 채 임기를 마쳤다. 오히려 김 국무위원장은 여러 차례의 정상회담에도 미국의 구체적인 행동이 없는 데 대해 실망감을 표출하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에 대해서 불만을 드러내며 자신의 성과를 강조했다. “우리는 수십년간 바보처럼 취급을 당했지만 나는 우리가 제공하는 군사적 보호와 서비스에 대해 그들(한국)이 수십억 달러를 더 지불하도록 만들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에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의 대폭 인상을 지속적으로 압박했다.
이어 “바이든 행정부는 한국이 우리에게 지불하기로 합의한 수십억 달러를 심지어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인 지난 3월 한미 양국은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작년보다 13.9% 인상하고, 향후 4년간 매해 국방비 인상률을 반영해 올리는 데 합의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