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96개 마을 이장들 거리로 ”원전 오염수 절대 안돼”

입력 2021-04-23 10:36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해 제주지역민들의 우려와 분노가 확산하고 있다. 원전수 방류가 수산업을 포함한 밭작물, 먹거리, 지하수, 관광 등 제주 생존산업 전반에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측되면서 마을 이장들까지 거리로 나섰다.

23일 도내 96개 마을 이장들이 제주 일본총영사관 앞에 운집했다. 마을에 따라 주 생산작목은 다르지만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이 마을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한 목소리로 우려했다.

이들은 “깨끗한 제주의 바다는 우리와 미래 세대의 삶의 터전”이라며 “일본 정부의 결정은 바다를 공유하는 인접 국과 국민들에 대한 폭거”라고 강력 규탄했다.

이들은 이어 “일본 정부의 방류 결정 철회와 방사능 오염수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오염수 처리 방식에 대한 인접국 간 협의를 통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결정하면서 제주에서는 주민 반대 집회가 계속 확산하고 있다.

14일 농업인 단체가 긴급 성명을 내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면 해조류나 폐화석, 어분을 사용한 비료에 영향을 미쳐 농민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데 문제가 생긴다”고 했다. “제주 토양이 오염되면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에 까지 피해가 미칠 것”이라고도 우려했다.

16일에는 수산업계가 나섰다. 지난 2011년과 2013년 일본 원전 폭발과 오염수 유출로 두 차례 수산물 소비 급감이라는 홍역을 치렀던 제주 수산업계는 오염수가 방출되면 수산물 소비 급감으로 제주지역 수산업계가 궤멸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분노했다.

이날 제주 일본총영사관 앞 항의 집회에는 어선주와 마을 어촌계는 물론 수협과 수산물 유통업자와 수산정책 관계자까지 바다를 매개로 활동하는 다양한 직종의 도민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코로나19로 판매량이 줄어든 상황에 오염수 방류까지 겹치면 또 얼마나 힘들어질지 걱정”이라고 탄식했다.

제주지역 환경단체는 제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13일 오전 관계 각료회의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한다는 계획을 담은 ‘처리수 처분에 관한 기본 방침’을 결정했다.

배출 전에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으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지만 삼중수소(트리튬)는 걸러내지 못하므로 물을 섞어 농도를 낮춘 뒤 방출한다는 구상이다.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승인 등을 거쳐 실제 방출까지는 2년 정도가 걸릴 전망이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