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몸국 재료 참모자반 추자도 새 소득원 기대

입력 2021-04-22 15:42
제주 추자도 해역에서 참모자반이 양식되고 있는 모습.

‘몸국’의 주 재료인 참모자반이 제주 추자도의 새 소득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추자도 수협과 공동으로 참모자반 양식실증사업을 추진한 결과 새로운 소득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참모자반 양식실증사업은 지난해 9~10월 추자 횡간도 연안에 4㏊ 규모의 양식 시설에 2.5㏊ 종자 틀을 이식해 올해 1~3월 총 3회 수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양식 참모자반의 길이는 3~4m로 자연산에 비해 성장 속도가 월등하게 빨랐다. 양식 해역의 조류 소통이 원활해 잡조나 뻘 등의 이물질이 거의 없어 수확 참모자반의 상품성도 높았다.

모자반 중에서도 유일하게 섭취하고 있는 참모자반은 제주의 대표 향토음식인 ᄆᆞᆷ국의 주재료로 쓰인다.

참모자반은 미역, 톳, 우뭇가사리와 함께 해녀들의 주 소득원으로 꼽히고 있으나 최근 갯녹음 현상이 확산되며 자원이 급감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참모자반 1㎏당 가격은 습중량(수분을 포함한 무게) 3000~4000원, 건조 중량은 3만원 선이다. 우뭇가사리(1000원선)나 톳(900원대)에 비해 높은 가격이다.

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양식실증 어장과 연계해 4㏊ 규모의 양식 시설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참모자반은 1회 종자 이식으로 최소 3년 간 수확이 가능하다. 이에따라 전체 8㏊의 양식 시설에서 생산되는 참모자반의 수확량은 약 100t에 이를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하고 있다.

고형범 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생산된 해조류의 고부가가치를 위해 추자 청정 브랜드를 이용한 해조 가공 산업도 육성해 나갈 방침”이라며 “다양한 유용 해조류의 양식기술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추자 지역 수산경제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